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기동향

美 연준, 4년반 만에 기준금리 빅컷 인하…韓 속도 빨라지나

미 연준 기준금리 5.25~5.50%→ 4.75~5.00% 인하
연준위원 11·12월 추가 금리 인하 전망

제롬파월 연준 의장이 18일(현지시간) 기자회견서 발언하는 모습/뉴시스·AP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년 반 만에 기준금리를 0.5%포인트(p) 인하했다. 고금리 기조가 예상보다 길어지며 고용시장이 둔화하는 등 경기침체 우려가 커진 영향이다. 한국은행도 오는 10월이후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커졌다.

 

미 연준은 지난 18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5.25~5.5%에서 4.75~5.00%로 인하했다. 연준은 2020년 3월 0~0.25%였던 기준금리를 2023년 7월 5.25~5.50%까지 인상한 뒤 8차례 연속 동결했다. 이번 금리인하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위기대응을 위해 긴급히 금리를 낮추기 시작한 2020년 3월 이후 4년 6개월 만이다.

 

미국 실업률 추이/미국 노동부

◆ 美 경기침체 우려…'빅컷' 선제 대응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한 배경에는 고용시장이 둔화한 영향이 컸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비농업 고용지수는 1월 35만3000명에서 8월 14만2000명으로 급감했다. 실업률은 같은 기간 3.7%에서 4.2%로 올랐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인하를 통해) 고용시장을 부양할 시점은 실업수당 청구가 증가하고 정리해고가 시작되는 시점이 아니라 고용시장이 여전히 강할 때"라며 "현재 고용시장은 최대고용에 가까울 정도로 견실한 만큼 금리인하가 경제성장으로 이어져 고용시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연준의 책무는 최대고용과 물가안정이다. 지난 1월 3.1%였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8월 2.5%까지 내려온 만큼 최대고용을 위해 금리인하를 단행했다는 설명이다.

 

다만 기준금리가 지속적으로 내려가더라도 빠르게 내려가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파월 의장은 "현 상황에서 제로(0) 금리까지는 너무 먼 이야기"라면서 "개인적으로 중립금리가 그보다 높을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수조달러가 마이너스(-) 금리로 거래되던 시기로 돌아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립금리는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나 디플레이션(물가하락)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잠재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는 이론적인 금리수준을 말한다. 중립금리가 오르면 인하폭이 제한돼 금리인하 속도가 더뎌질 수 있다.

 

이날 연준은 점도표(Dot plot)를 통해 올해 말 기준금리가 4.4%까지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점도표는 FOMC회의에 참석한 위원들이 향후 금리전망을 취합한 지표다. 앞서 위원들은 지난 6월 올해 말 기준금리를 5.1%로 예상했다. 이는 기존보다 기준금리가 떨어질 것이라고 보는 위원들이 많다는 것으로, 올해 11월과 12월 열리는 FOMC에서 추가 금리인하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연준위원들은 올해 금리가 4.4%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연준(Fed) 홈페이지

◆ 韓 11월 0.25%p 금리인하 가능성

 

연준의 금리인하로 한국은행의 금리인하 압박은 더 거세질 전망이다.

 

앞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8월 통화정책방향회의를 통해 "물가상승률 둔화추세가 이어지고 내수 회복세가 더디지만, 수도권 주택 가격 및 가계부채, 외환시장 상황 등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며 연 3.5%의 기준금리를 동결한 바 있다. 은행권 가계부채는 8월말 기준 1130조원으로 한달 새 9조 3000억원 증가했다. 그 중 주택담보대출은 8조2000억원으로 가계대출 증가액의 88% 수준이다. 부동산 회복세에 수도권에 집을 사려는 사람이 늘고, 이로 인해 집값상승과 가계부채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만큼 금리를 인하해 부동산 가격 상승심리를 부추기지 않겠다는 설명이다.

 

다만 가계부채는 9월을 기점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8월 부동산 대책을 통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공급을 확대하기로 한데 이어 9월부터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를 도입하기로 했다. 스트레스 DSR은 변동금리 대출을 이용하는 차주가 대출 이용기간 중 금리상승으로 원리금 상환부담이 증가할 것에 대비해 일정수준의 가산금리를 더해 한도를 낮추는 것을 말한다. 비수도권 가산금리는 0.75%, 수도권은 1.2%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9월 들어 5영업일까지 가계대출이 잠정치로 1조1000억원 늘었다"며 "은행 쪽만 비교해보면 8월 대비 증가폭은 절반수준으로 대출규제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한·미 기준금리 추이/한국은행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한은이 11월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다. 통화정책이 아닌 다른 정책으로 가계부채 증가세를 제한할 수 있게 된 만큼 물가 및 대내외 시장상황을 살펴보고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10월 11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는 9월 한달 간 집값 상황과 가계부채 증가세를 가지고 결정할 텐데, 추석 연휴로 감소세를 명확히 판단하긴 어려울 것"이라며 "10월 가계부채가 잡히는 것을 보고 11월 금리인하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다만 금리인하 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금리인상시기) 한국의 기준금리는 3%p 미국은 5%p 올랐다"며 "금리인하가 진행될 때에도 미국의 금리 인하 폭이 우리나라보다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앞서 금융통화위원 6명중 4명은 3개월(9·10·11월) 내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11월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할 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설명이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금리인하는 11월이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미국의 연내 추가 금리인하에 따라 내년 1분기 한은의 추가인하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