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사교육 부담 없는 지역’ 만든다 …교육부, 12개 지역 첫 선정

1차 교육발전특구 선도지역 19개 중 12개 지역 선정
지역 대학·기관 연계한 특색 프로그램 개발
지역별 상황에 맞는 다양한 사교육 경감 모델 진행

교육부는 사교육 부담 없는 지역·학교 사업 1차 대상으로 12개 지역을 선정했다. 3유형에 선정된 전남 무안 지역에서 AI 멘토링 스쿨을 운영하는 무안고 홈페이지(안)/교육부 제공

공교육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지역 대학 등이 협력하는 '사교육 부담 없는 지역·학교'가 처음으로 선정됐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올해 총 69억4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교육부는 사교육 부담 없는 지역·학교 사업 1차 대상으로 12개 지역을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사교육 부담 없는 지역·학교란 지역 자원을 활용해 사교육을 경감시키고 공교육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처음 시행되는 사업이다.

 

■ 초·중·고교 총 173곳에서 시행…지역당 7억여원 지원

 

이번에는 지난 2월 선정된 1차 교육발전특구 선도지역 중 12개 지역을 대상으로 선발이 이뤄졌다.

 

기초지자체가 신청한 1유형에는 강원 춘천, 강원 원주, 경북 구미, 경북 울진 등 4곳이 선정됐다. 광역지자체 단위로 접수한 2유형에는 부산, 대구, 광주, 울산, 제주 등 5곳이, 광역지자체 내 복수의 기초지자체가 신청한 3유형에는 ▲경남(진주, 사천, 거제) ▲전북(익산, 남원, 완주, 무주, 부안) ▲전남(나주, 목포, 무안) 등 3곳이 이름을 올렸다.

 

선정 지역의 ▲초등학교 67개교 ▲중학교 32개교 ▲고등학교 74개교 등 총 173개교에서 사업이 시행된다.

 

교육부는 지역별로 최대 7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아울러 이 사업의 철저한 성과관리를 위해 매년 각 지역이 제출한 성과지표 달성 여부를 점검해 다음 연도 계속 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사교육 영향 분석 연구'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성과 지표는 지역별·학교별 사교육비 경감률과, 학생·학부모 만족도 등을 필수로 포함해 지역·학교의 여건에 따라 수립됐다.

 

아울러 교육부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S)·한국대학교육협의회 등과 협의해 선정 지역에 EBS 인공지능 상담 학교(AI 멘토링 스쿨), 진로진학 관련 정보 제공 등이 더욱 활성화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수포자 없앤다''AI 멘토링' 등 공교육표 학습관리 추진

 

선정된 지역·학교에서는 ▲학생 수준별 맞춤형 학습 지원 ▲기초학력 및 교과보충 프로그램 ▲자기주도학습 지원 ▲지역사회 연계 특색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교육 경감 모델을 추진한다.

 

지역별로 보면, 강원 춘천은 '수학 포기자 없는 더 나은 춘천 미래교육'을 목표로 집중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초3, 중1, 고1 등 책임교육학년을 중심으로 학기 또는 방학 중 예비교사(RISE 연계 대학생)와 함께 수학 1대 1 멘토링을 실시한다.

 

전남 목포·나주·무안 지역은 고교 10곳을 대상으로 EBS AI 멘토링 스쿨을 운영한다. EBS AI 진단검사 결과에 따라 수준별 온라인 멘토링을 실시하고, AI 강좌 추천, 멘토링 스쿨 LMS 운영을 통해 체계적으로 학습 관리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교육발전특구 선도지역을 중심으로 지역별로 우수한 사교육 경감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타 지역으로 확산하여 학생과 학부모님들의 사교육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