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구는 서울 25개 자치구 중 공원 면적이 가장 작다. '배봉산근린공원'은 구에 몇 없는 녹색 허파다.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현 서울역사편찬원)가 펴낸 '서울의 산'에 따르면, 배봉산은 전농3동 산 32-20을 중심으로 21필지 21만9980㎡(6만6600평)를 대상으로 1977년 7월 9일 건설부고시 제138호로 시설 근린공원으로 지정됐다. 이후 1987년 3월 10일 서울특별시고시 제153호로 지적 고시됐고, 이어 1991년 12월부터 공원 조성 공사가 시작돼 1993년 4월 준공됐다.
◆숲속도서관부터 인공폭포까지…피서지로 제격
폭염이 기승을 부린 지난 11일 오후 배봉산근린공원을 방문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사가정역에서 하차해 2번 출구에서 2015번 버스를 타고 6개 정류장을 이동해 '전동초등학교·전농동SK아파트' 정거장에서 내린 다음 배봉차도육교 방향으로 148m를 걸어 목적지에 도착했다.
이날 공원은 낮 최고 기온이 34도까지 치솟은 무더운 날씨를 피해 시원한 곳으로 몸을 향한 시민들로 북적였다. 입구 우측에는 거대한 흰색 차양막이 설치된 배봉산 열린 광장이 있었다. 동네 어르신들은 분홍색, 흰색, 보라색 빈백에 누워 잠을 청했고, 젊은이들은 1인용 소파에 구부정하게 앉아 스마트폰 게임 삼매경에 빠졌다.
광장 옆에는 배봉산 숲속 폭포가 마련됐다. 네 명의 어린이가 폭포 물줄기를 맞으며 첨벙첨벙 물장구를 쳤다. 어른들은 파라솔 밑에 삼삼오오 모여 앉아 수다를 떨면서 힐끗힐끗 곁눈질로 아이들의 안전을 살폈다.
동대문구는 "배봉산 숲속 폭포는 과거 채석장으로 어둡고 위험한 곳으로 인식됐으나 주민들에게 새로운 볼거리와 함께 청량감과 희망을 선물하는 아름다운 수경 공간으로 변신했다"며 "시원하게 쏟아지는 폭포수, 수면 위로 튀어 오르는 물방울, 야간 조명이 연출하는 다양한 빛과 색채를 감상할 수 있다"고 전했다.
폭포 규모는 폭 41m, 높이 19m이며, 유리 섬유 강화 시멘트(Glass fiber Reinforced Cement·GRC) 인조암을 활용해 만들었다. 자동 수질 정화 시스템이 구축된 상수도를 수원으로 하며, 용수량은 80t에 이른다. 수조 크기는 83.4㎥이고, 폭포와 분수(샤프, 가이샤, 안개)로 구성됐다.
청청한 아이들의 웃음소리를 뒤로 하고 배봉산 숲속 도서관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날이 더워서 사람이 없겠거니 하고 도서관 안으로 들어섰는데 이게 웬걸, 빈자리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내부가 붐볐다. 11일 오후 배봉산 숲속 도서관으로 나들이 나온 시민들은 에어컨 바람을 맞으며 독서하는 재미에 푹 빠져 있었다. 어른들은 두꺼운 책을 손에 붙들고 학구열을 불태웠다. 아직 글을 깨치지 못한 꼬마들은 동화책을 실감 나게 읽어주는 엄마의 입을 뚫어지게 바라보며 귀를 쫑긋 세우고 이야기를 경청했다.
도서관은 사면에 책장이 붙은 열린 구조를 취하고 있었다. 낮은 키의 책장 네댓 개가 있긴 했지만, 대부분이 벽에 스며든 형태로 설치돼 숨바꼭질하듯 서가 사이를 거니는 낭만이 사라져 아쉬웠다. 내부 구조상 책을 많이 못 넣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슬라이딩 이중 책장을 도입, 책을 두 겹으로 쌓았다.
도서관은 아담한 규모에 비해 책이 많았다. 한국십진분류법을 따라 900번대에는 역사책이 꽂혀 있었는데, '배봉산과 사도세자'라는 북큐레이션 코너가 특히 인상 깊었다. 이곳에는 ▲사도세자 비밀의 서 ▲버림받은 왕자 사도 ▲영조와 사도 ▲역사 추리 조선사 ▲정조, 나무를 심다 ▲혜경궁 홍씨, 회한의 궁중 생활 칠십 년 ▲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영조와 네 개의 죽음 ▲사도의 8일 등 제목부터 흥미진진한 책들이 가득했다.
◆삼국시대 관방 유적·영우원 터 있는 역사적 장소
숲속 도서관에서 사람 구경을 한 뒤 배봉산근린공원으로 이동했다. 배봉산의 산명 유래와 관련해서는 몇 가지 설이 전해진다. 조선의 22대 왕 정조는 즉위와 동시에 '아! 과인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라고 선언할 만큼 강단 있는 인물이었다. 정조가 뒤주에 갇혀 쓸쓸한 죽음을 맞이한 사도세자에게 못다 한 효를 이어가기 위해 궁궐에서 매일 아버지 묘소가 자리한 곳을 향해 절하며 예를 표해 산 이름이 '배봉산(拜峰山)'이 됐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외에 배봉산 자락에 영우원과 휘경원 등 왕실의 묘원이 마련돼 백성들이 고개를 숙여 절하고 지나갔기 때문에 배봉산으로 불리게 됐다는 설이 있고, 산의 모습이 도성을 향해 절하는 형상이어서 이 같은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도 내려온다.
귀를 기울이면 어디에선가 정조의 사부곡이 들려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품고 배봉산을 탔다. 정상 전망대에 올라 산으로 둘러싸인 도시의 전경을 감상했다. 좌측에서부터 천마산, 구능산, 백봉산, 망우산, 장안교, 동부간선도로, 중랑천, 용마산, 용마폭포공원, 아차산, 남한산, 롯데월드타워, 대모산이 차례로 모습을 드러냈다.
배봉산 정상부는 1968년 김신조 사건을 계기로 1973년 수도방위사령부 방공단 소속 군부대가 설치돼 약 반세기 동안 출입이 엄격히 금지된 곳이었다. 군부대 이전 후 정상부를 배봉산근린공원으로 복원하던 중 고구려 관방 유적이 발견됐다.
배봉산 보루 유적은 2016년 공원 조성을 위한 사전 발굴 조사에서 확인됐다. 보루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돌과 흙으로 쌓은 시설물로, 주로 소규모 성곽을 일컫는다. 구는 "배봉산 관방 유적은 기존의 아차산 일대 고구려 보루군과 달리 중랑천의 서쪽에 위치하며, 한강 수로를 이용해 내륙과 서해를 오가는 수상루트와 중랑천을 통해 한강으로 남하하는 길을 동시에 관망 가능한 곳에 자리한 새로운 유적"이라면서 "고대 서울 지역에서 삼국의 역사적 정황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추가적으로 이번 조사지와 더불어 주변으로 본 유적에 선행하는 선사시대 유물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배봉산에는 선사시대부터 양호한 입지를 바탕으로 장기간에 걸쳐 유적이 형성됐을 가능성이 크다"며 "결론적으로 배봉산 관방 유적은 동대문구의 유구한 역사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적으로 손색이 없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