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주의 검찰 구속기소라는 악재 속 카카오가 호실적과 함께 미래 비전을 발표하며 사법리스크에 정면으로 맞섰다.
카카오는 8일 오전 2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하반기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같은 시간 검찰은 창업주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을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김 위원장을 구속기소했다. 카카오는 사법 리스크를 안은 상태에서 경영 혁신과 경쟁사 네이버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밀린 AI 사업 육성이라는 과제를 짊어지게 됐다.
카카오는 2분기 연결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4% 증가한 2조 49억원, 영업이익은 18% 늘어난 134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6.7%다.
부문별로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9553억원을 기록했다. 플랫폼 중 카카오톡을 통한 광고·커머스 사업을 펼치는 톡비즈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5139억원이다. 선물하기, 톡스토어 등의 거래형 매출액은 20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모빌리티·페이 등이 포함된 플랫폼 기타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8% 증가한 3535억원이다.
카카오 사업의 또 다른 축인 콘텐츠 부문의 2분기 매출은 1조 496억원이다. 콘텐츠 부문 내 뮤직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6% 증가한 5109억원이다. 스토리의 2분기 매출은 215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 감소했다. 미디어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22% 증가한 896억원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2분기 카카오톡의 국내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4893만명을 기록하면서 견조한 활동성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이용자 체류시간 역시 지난해 톡 개편을 통해 친구탭과 오픈채팅탭을 중심으로 크게 성장한 이후 올해 2분기에도 여전히 견조한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향후 '톡비즈 등 카카오톡'과 'AI'로 주력 사업을 정했다고 발표했다. 정 대표는 "하반기부터는 전사적으로 자원을 톡비즈 성장 재가속과 AI를 통한 새로운 혁신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톡비즈 사업의 돌파구는 '구독형 비즈니스'가 될 예정이다. 정 대표는 "광고, 커머스에 이어 '구독형 비즈니스'로 세 번째 매출 기반을 구축할 것"이라며 "이벤트 소식, 대규모 강의 등 관련 구독 모델로 사업화 기회를 찾는 데 주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아직 절대 매출 규모는 광고, 커머스에 비해 작지만 경기 민감도가 낮아 향후 구독형 비즈니스에서 톡비즈 내 경기에 비탄력적 매출 기반을 확보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AI 사업에서는 카카오는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투자 대신 소프트웨어 파워를 확보하는 데에 주력하기로 했다. 하반기 대화형 플랫폼 기반의 B2C AI 서비스를 카카오톡 외 별도 앱을 통해 출시한다.
정 대표는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AI서비스를 보다 빠르게 출시, 수익화 가능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컨퍼런스콜이 진행 되는 동안 창업주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의 검찰 구속 소속도 전해졌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2월 SM 인수 과정에서 경쟁 상대인 하이브의 공개 매수를 방해하기 위해 SM 주가를 하이브의 공개 매수가(12만원)보다 높게 고정시키려고 시세를 조종한 혐의를 받고 있다. 김 위원장은 카카오가 2400억원을 동원해 고의로 553차례에 걸쳐 SM 주식을 고가에 매수하는 데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는 사모펀드 운용사인 원아시아파트너스와 공모해 주가 유지를 위해 작년 2월 16~17일, 27일 원아시아파트너스가 1100억원을 먼저 투입하고, 같은 달 28일 카카오가 뒤이어 1300억원을 투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업계 관계자는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경영쇄신위원회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었는지 현재로썬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 없다"며 "카카오 내부 혁신과 김 위원장의 구속 기소는 다소 별개의 이야기지만 주가 부양과 같은 문제에선 중요한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규모언어모델 개발에 대해 천문학적 비용 대비 효율성의 문제가 최근 제기되고 있다"며 "소프트웨어 개발로 선회한 선택은 카카오에 있어 새로운 기회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