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제2금융

퇴직연금 장기수익률 저조…'원리금보장' 비중 크기 때문?

지난해 퇴직연금 적립액 규모, 전년비13.8%↑…DC형 18.1%↑. IRP 31.2%↑
장기수익률 여전히 저조…디폴트옵션 도입에도 '원리금비보장' 비중 작은 탓
원리금보장 상품과의 수익률 2%p 차이 불과…원금 손실 감수할 요인 없어

한 시민이 노인 일자리 정보를 살피고 있다./뉴시스

노후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가 빠르게 늘고 있지만 퇴직연금의 장기 수익률은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립액이 원리금보장 상품에 집중됐기 때문이란 진단이 나온다.

 

9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퇴직연금 총 적립액은 전년 대비 46조5000억원(13.8%) 늘어난 382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가입자가 직접 투자 운용이 가능한 DC형(18.1%)과 개인형 IRP(31.2%)의 적립액 성장률이 DB형(6.7%)보다 적립액 성장률이 가팔랐다.

 

같은 기간 연간 수익률은 전년보다 0.02%포인트(p) 상승한 연 5.26%를 기록했다. 하지만 장기 수익률은 여전히 저조했다. 5년 수익률은 연 2.35%, 10년 수익률은 연 2.07%에 머물렀다.

 

국내 퇴직연금의 장기 수익률이 저조한 주요 원인으로는 적립금 규모 대비 높은 원리금보장 상품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원리금보장 상품은 예금, 국채 등 초저위험 상품에 투자한다. 원금 손실 위험은 없지만, 평균 수익률이 연 2%에 그쳐 증시·펀드 등에 투자하는 원리금비보장 상품보다 기대 수익률이 낮다.

 

국내 퇴직연금 가입자의 전체 적립금 규모 대비 원리금보장 상품 선택률(DC형 78.7%, IRP 70.2%)은 74.8%에 달한다.

 

정부는 퇴직연금의 낮은 수익률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 2022년 퇴직연금 가입 시 운용 방법을 미리 지정하는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을 도입했지만, 지난해 디폴트옵션의 90%는 원리금보장 상품에 투자됐다.

 

일각에서는 퇴직연금의 수익률이 과도하게 낮고 이에 따라 소득대체율도 저조해 '국민연금을 보조하는 노후 소득원'이라는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원석 동아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학술지 '보험금융연구'에서 현행 퇴직연금의 추정 소득대체율을 2.7%로 제시했다. 보험연구원도 지난해 현행 퇴직연금의 추정 소득대체율로 2.1%를 제시했다.

 

소득대체율을 낮추는 주요 요인으로는 잦은 이직과 낮은 수익률에 따른 높은 중도 해지율과 이에 따른 최종 적립액 감소를 꼽았다.

 

지난해 55세 이상 퇴직연금 수급자의 89.6%는 퇴직연금을 연금 형태로 수급하는 대신 일시 출금했다. 평균 수령액도 1645만원에 그쳤다. 한국연금학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연금·퇴직연금 동시 가입자의 49.9%는 퇴직연금 일시 출금 요인으로 '적립금이 적어 노후 소득 보장의 실효성이 없다'를 꼽았다.

 

일각에서는 퇴직연금의 수익률 개선을 위해선 원리금비보장 상품의 장기 수익률이 먼저 개선돼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1년 원리금비보장 상품의 평균 수익률은 DC형이 연 12%, IRP가 연 12.6%에 달했다. 그러나 5년 수익률은 DC형이 연 4%, IRP가 연 4.06%에 그쳤다.

 

같은 기간 원리금보장 상품 수익률(DC형 연 2.26%, IPR 연 1.96%)과의 차이는 2%p 안팎에 불과했고, 5년 수익률에서 연 10.1%(2016~2020년)를 기록한 미국, 연 7.42%(2019~2023년)를 기록한 호주 등 원리금비보장 상품 비중이 큰 국가의 퇴직연금 수익률과 비교해도 크게 낮았다.

 

자본시장연구원은 보고서에서 "퇴직연금의 낮은 수익률과 낮은 연금화가 지속되면 퇴직 소득 안정화라는 제도의 기본 취지가 악화될 수 있다"며 "적어도 임금상승률에 상응하는 투자수익률을 유지하면서 연금화 비율을 높여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