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한스경제·ESG행복경제연구소가 공동 주최한 '제5회 EGS Korea Awards(코리아 어워즈)'에서 기초지자체 중 1위로 선정돼 종합대상을 받았다.
시상식은 24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다이아몬드홀에서 열린 '1.5℃ HOW Forum&ESG Korea Awards' 중 진행됐다. 1.5℃ HOW Forum(하우 포럼)&ESG Korea Awards는 공공, 민간, 비영리 부문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기후변화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할 방안으로서 ESG 경영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ESG 리더십과 성과가 우수한 기업과 지자체를 포상하는 행사이다.
수원시는 ESG행복경제연구소의 '기초지자체 ESG 평가'에서 경기도 31개 시·군 중 A등급을 받아 1위를 차지했고, 전국 226개 기초지자체 중에서도 1위를 기록했다.
기초자치단체 ESG 평가는 2022년 1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 전국 226개 기초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환경과 사회, 거버넌스 부분에서 각각 20가지 항목으로 나눠 평가했다. 평가 지표는 ▲K-SDGs(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 ▲지속가능발전기본법 ▲탄소중립기본법 ▲K-택소노미 ▲글로벌 이니셔티브(UN SDGs, GRI, ISO26000) 등을 준용하고, 지속가능성에 대한 영향성(시대적·사회적 필요성)과 이해관계자(공시 데이터 및 정보 등)를 위한 중요성 등을 고려했다.
ESG 행정은 지방자치단체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가치를 행정에 반영하는 것을 말한다.
수원시는 '수원을 새롭게, 시민을 빛나게'라는 비전 아래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각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뤄냈다.
환경 분야는 2050 탄소중립도시 완성을 위한 기본조례 제정, 수원시정연구원과 협업, 수원시 탄소중립 시민위원회 구성, 탄소중립 비전 선포 등으로 탄소중립 도시 완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집 탄소 모니터링 도입·확대운영, 제로에너지 건물 인증 제도 운용, 전기버스로 전체 전환 추진, 전기·수소차 충전소 확충 등 인프라 구축 등으로 온실가스 줄이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또 에코스테이션과 스마트 자원센터를 확충해 쓰레기 분리배출을 유도했고, 지난해에는 생태교통 수원 뉴 페스타로 열어 차 없는 마을을 10년 만에 재현했다.
이 밖에 공직자, 시민 대상으로 교육을 추진하고, 일월·영흥 수목원 개장, 손바닥정원 조성(314개소) 등으로 도심 탄소흡수원을 확대했다.
'사회적 책임 분야' 성과는 전국 최초의 통합형 돌봄서비스인 수원새빛돌봄이 대표적이다. 방문가사, 심리지원, 동행지원, 임시보호 등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만들어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종합적인 돌봄체계를 구축했다.
자립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한 셰어하우스 콘(CON), 3자녀 이상 다자녀 무주택 가구의 주거지원을 위한 수원휴먼주택, 청년들에게 보금자리를 제공하는 새빛청년존 등 다양한 주거안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밖에 1인 가구 지원사업, 플랫폼 노동자의 일자리 안정망 구축, 도심안전 확보를 위한 CCTV확대 등으로 사회 안정망을 확충하고 있다.
지배구조 분야는 지자체에서는 거버넌스 분야로 해석한다. 전국 최초로 구성한 수원시 도시정책 시민계획단, 주민참여예산제, 시민배심원제는 정책결정과정에 시민이 참여해 시민의 상식에 부합하는 정책을 만드는 성과를 거뒀다.
모바일 시정참여 플랫폼 새빛톡톡으로 시민들은 언제 어디서나 정책을 제안할 수 있고, 새빛민원실과 베테랑공무원 제도는 민원서비스의 본보기로 자리매김했다. 이재준 수원시장은 '찾아가는 현장시장실'을 열어 현장에서 주민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다. 수원시는 '2023년 지방자치단체 적극행정 종합평가'에서 기초지자체 1위, 최우수기관 선정돼 적극행정의 표본이 됐고, 현재 특례시 지위에 걸맞은 행·재정적 권한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ESG전문가 과정 펠로우들이 수원시와 경기도시공사를 방문해 ESG 우수 사례를 공유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ESG 가치 실현을 위해서는 지자체와 시민 간의 협력, 국가의 지원, 나아가 지방정부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이 필요하다"며 "지역기업, 관련 기관 등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지방정부 ESG행정의 표준이 될 수 있도록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