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다시 베트남에 눈 돌리는 기업…삼성전자, 효성, SKC 등 투자 러시

지난 9일(현지시각) 베트남 하노이에서 팜 민 찐(오른쪽) 베트남 총리와 박학규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CFO·사장)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뉴시스

국내 기업들이 성장 잠재력이 큰 베트남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기회의 땅'으로 불리는 베트남은 인구수가 1억명에 달해 세계 15번째, 아시아 8번째 '억 단위 인구' 보유국이다. 중위 연령 32.5세로 젊은 국가로 시장 잠재력이 높아 삼성전자와 LG전자, SK, 효성 등은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핵심 소비계층이 풍부하다는 점은 물론 대규모 노동력도 갖추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효성의 경영진이 베트남 총리와 부총리를 각각 만나 베트남 투자를 더 확대하기로 했다.12일(현지시각) 뚜오이째 등 베트남 매체에 따르면 박학규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 사장(CFO)은 지난 9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를 만났다.

 

박 사장은 이 자리에서 "향후 투자 규모를 연간 10억 달러(약 1조3700억원) 수준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삼성전자 공급망에 참여하는 베트남 기업을 더 늘릴 것"이라고 전했다.박 사장은 삼성전자가 현재까지 베트남에 총 224억 달러(약 30조7000억원)를 투자했고, 베트남 기업에 인재 훈련을 지원한 내용을 공유했다. 또 삼성전자의 베트남 협력업체가 지난 2014년 25곳에서 현재 309곳으로 10년간 12배 이상 늘었다고 전했다.

 

이에 찐 총리는 베트남 정부가 투자 환경 개선, 행정절차 개혁, 정책 개선 등을 중시한다고 답했다. 그는 베트남 기업들이 삼성전자 공급망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줄 것을 박 사장에게 요청하기도 했다.

 

이상운 효성 부회장도 지난 10일 레 민 카이 베트남 부총리를 만나 호찌민시 첨단기술지구의 데이터센터 건설 허가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효성은 지난 2007년부터 소재·섬유·화학 등 분야에서 40억 달러(약 5조4900억원) 이상을 베트남에 투자했다. 세계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시장 3위인 효성 계열사 효성티엔에스는 베트남에서 ATM 생산 공장 투자를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이 부총리는 "베트남 정부는 항상 투자 환경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효성이 환경 보호, 베트남 기업과의 연계, 베트남에서 생산된 원자재 이용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효성은 삼성, LG에 이어 베트남 투자 규모가 3번째로 큰 한국 대기업이다. 2007년부터 소재·섬유·화학 등 분야에서 40억달러(약 5조4900억원) 이상을 베트남에 투자해왔다.

 

SK그룹의 글로벌 ESG 소재 솔루션 기업인 SKC도 베트남에 세계 최대 규모의 생분해 소재(PBAT) 생산공장 건설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SKC의 친환경 소재 사업 투자사 SK리비오는 11일(현지 시간) 베트남 하이퐁시 경제특구에서 PBAT 소재 생산 공장 착공식을 열었다. SK리비오는 SKC가 고강도 PBAT 소재 사업을 위해 종합 식품 기업 대상과 2022년 설립한 합작사다.

 

이번 베트남 생산 시설은 약 1억 달러(약 1368억원)를 투입해 연면적 2만 2389㎡ 규모로 지어진다. 생산능력은 단일 공장 기준 세계 최대인 연산 7만 톤으로 2025년 3분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PBAT는 일반 플라스틱과 달리 매립하면 미생물에 의해 자연 분해되는 '썩는 플라스틱'이다. SK리비오 생산 시설이 들어서는 하이퐁시 경제특구는 항만·물류 인프라가 최적화한 곳으로 평가 받는다. 특히 현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신재생에너지로만 필요한 전력의 100%를 충당하는 RE100을 실행한다.

 

이처럼 국내 산업계가 베트남 투자에 집중하는 건 미중 갈등에 따른 공급망 재편의 영향이 크다. 세계의 공장이던 '중국'의 대체지로 급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높은 대외개방성을 바탕으로 아세안 수출 전초기지가 될 수 있고 1억명에 달하는 전체 인구 중 34%가 14~34세에 불과한 젊은 국가인 점도 매력적이다. 여기에 미국이 베트남의 무역 지위를 현재 '비시장경제'에서 '시장경제'로 격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기업들의 투자 가치를 높이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베트남은 정치적 안정성과 저렴한 인건비 그리고 탄탄한 소비층을 갖추고 있다"며 "특히 대규모 노동력 동원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지역이다"고 말했다. 이어 "한류를 바탕으로 한국 기업에 대한 현지 호감도도 높다"며 "하노이 중심의 북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토지 임대료를 갖추고 있어 국내 기업 진출에 부담도 낮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