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게임들의 국내 시장 침투가 눈에 띄게 빨라졌다. 특히 모바일게임 시장에서 한국게임보다 중국게임이 국내 이용자들의 선택을 한몸에 받고 있다.
실제 최근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원스토어 등 국내 모바일 주요 플랫폼에서 중국 게임들은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한국 게임 기업들이 중국 정부의 규제로 현지 시장 진출이 어려운 가운데, 중국 게임들이 국내 시장에 쉽게 진출하는 것에 대해 형평성이 맞지 않는다며 불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9일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가 발표한 '중국 모바일 게임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기준,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 등 국내 양대 마켓 매출 순위 톱 5위 안에 '라스트 워', 'WOS', '버섯커 키우기' 등 중국게임이 이름을 올렸다.
특히 '라스트 워'가 당시 매출 1위를 기록했으며, 이달 2일에는 구글 플레이스토어 기준 1위를 차지했다.
이에 앞서 지난 3월 기준, 원스토어를 포함한 3개 플랫폼에서 매출 상위 20위 게임 중 32%가 중국 게임이 차지했다.
이처럼 중국 게임들이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는 이유는 공격적인 마케팅과 하이브리드 캐주얼 장르인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국내 게임 업체들은 견고하고 탄탄한 스토리로 구성된 MMORPG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실제 지난 2일 기준 '리니지M', '아스달 연대기: 세 개의 세력'이 구글플레이스토어의 톱 5안에 속해 있는데, 이들 모두 MMORPG 장르다.
그러나 MMORPG는 캐릭터를 키우고 세계관을 확장해 나가야 하는 등의 시간과 노력, 비용이 드는 장르여서 마니아층들이 두텁다는 장점이 있지만, 게이머들도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하기 때문에 최근 경기 침체와 맞물려 이용자들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반면 가벼운 하이브리드 캐주얼 게임을 즐기는 이용자들은 늘어나고 있다. 중국업체들이 인기를 얻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실제로, 글로벌 모바일 시장 데이터 분석 기업 센서타워에 따르면 2023년에 하이브리드 캐주얼 게임은 전년 대비 30% 증가한 21억 달러를 기록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가 2023년 연간 매출 192억 달러, 다운로드 332억건으로 각각 6%, 11% 감소했고 애플 앱스토어가 2023년 연간 매출 338억 달러로 현상 유지, 다운로드 62억건으로 6% 하락하는 등 침체기에서도 중국 하이브리드 캐주얼 게임이 이처럼 선전하고 있는 것은 의미가 있다는 분석이다.
작년 하이브리드 캐주얼 장르에서는 중국의 '탕탕특공대'가 인기를 끌었다.
가볍게 즐기는 게임인만큼 쉽게 질릴 수 있다는 이용자들의 패턴도 읽었다. 중국은 톱니바퀴 돌리듯 지속적으로 맞물려 게임을 선보이고 있다. 이용자 입장에서는 선택의 폭이 넓어졌고 게임사 입장에서는 밑져야 본전인 셈이다.
실제 '버섯커 키우기'는 작년 12월 말 출시된 이후 한국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아왔다. 출시 이후 DAU(일간 활성 이용자) 10만명대를 유지해왔는데 지난 2월, DAU 20만명을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었다. 이런 가운데 '라스트 워'가 출시되면서 중국게임의 강세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가고 있다.
일각에선 중국의 이 같은 기조가 오래가지는 못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중국 게임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비슷하기 때문에 이탈하는 이용자도 더 많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잘나가는 게임을 모방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하는데에 한계가 있을 것이란 지적도 나왔다.
다만, 업계에서는 중국 게임의 한국 진출에 대해 위기감을 갖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윤양수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국장은 "중국의 '버섯커 키우기'를 유인촌 장관이 직접 시연할 정도로 문체부의 관심은 높다"면서도 "중국 게임의 문제 대응과 한국 게임의 중국 진출 등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