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전기차 시대…K-배터리, 나아가야할 방향은 '고성능·저가격·고안전'

지난 8일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전기차 배터리 혁신 기술 세미나'에서 이정두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2차전지PD(프로그램 디렉터)가 '국내외 배터리 산업 전망과 핵심 소재 개발 동향'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 차현정 기자

국제적 환경 규제 강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친환경 자동차로써 전기차는 필수적인 선택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기차 시대를 맞이함에 있어 배터리 기술 개발의 중요성도 더욱 강조되는 분위기다. 배터리는 전기차의 핵심 부품으로서 주행거리부터 화재로부터 안전성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전기차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배터리 관련 기술 개발이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11일 한국미래기술교육원에 따르면 지난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인터배터리 2024' 행사장에서 '전기차 배터리 혁신 기술 세미나'를 개최하고, 전문가들이 모여 배터리 산업 전망 및 핵심 소재 개발 이슈, 배터리 제어 및 안전 기술 등을 주제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했다.

 

이정두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2차전지PD는 "전기차가 나온 이유는 결국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것"이라며 "때문에 배터리 산업 혁신 전략 3가지 중 친환경 기술을 보유하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배터리나 소재를 만드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감축, 제조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이나 폐기물들을 줄이는 것이 미래 글로벌 배터리 이슈의 키가 될 것"이라 전망했다.

 

사용기한이 만료된 폐배터리 처리도 중요한 이슈다. 산업부는 폐배터리를 재활용하는 등의 기술 개발을 통해 배터리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를 2030년까지 25% 이상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8일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전기차 배터리 혁신 기술 세미나'에서 송정훈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박사가 '배터리 소재 개발 이슈 및 해결 과제'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 차현정 기자

이어 이차전지 소재업체들이 발전 방향들에 대한 의견이 제기됐다. 송정훈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박사는 이차전지의 성능 향상을 위해 에너지밀도와 주행거리를 늘리고 충전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또한 안전성 문제에 대한 강조도 이어졌다.

 

송 박사는 "에너지밀도는 2023년 250~300wH/kg에서 2030년 350wH/kg으로 높여야 한다"라며 "주행거리는 500km에서 600km로 늘리고, 충전속도는 20분 이내에서 15분 이내로 줄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고안전과 관련해선 이차전지 모듈, 지능형 제어기술 확보를 통해 발화 지연을 넘어 자가진단과 자가치유가 가능한 이차전지 제조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둘러싼 화재 문제에 대한 우려도 제시됐다. 김홍환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용인소방서 소방위는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라는 단어를 붙이고 있는데 가장 위험한 것은 폭발"이라며 "현재 국내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폭발을 막는 부분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LFP 배터리가 열폭주 발생 가능성이 낮다 해도 한 번 열폭주가 발생한 이후에는 위험성이 더 크다는 설명이다.

 

이 외에도 촘촘한 전기차 충전 설비에 대한 문제점이 논의됐다. 아파트 주차장 내 충전소가 확대되며 간격이 약 30cm, 50cm로 좁아져 화재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좁은 현장에는 화재 발생 시 소방차가 들어가거나 열 확산을 진압하는 데 제한적인 면도 강조됐다.

 

김 소방위는 "화재 대응보다 중요한 것이 예방"이라며 "배터리 화재 관련 연구개발과 예산을 통해 안전한 기술이 신속하게 전기차에 적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