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모색(摸索) 2024]갑진년, 대혁신의 트리거 분초사회가 온다

1분 '숏폼' 콘텐츠 신흥 강자로
'시성비' 시간 가성비에 집중
가사 서비스 플랫폼 급부상

2024년 1월 1일 강원 속초시 청초호 용조형물 뒤로 해가 떠오르고 있다./뉴시스
동영상 플랫폼 기업들이 MZ 이용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맞춤형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유토이미지

다사다난했던 계묘년(癸卯年)이 저물고 2024년 갑진년(甲辰年) 청룡(靑龍)의 해가 떠올랐다. 전문가들은 우리 경제의 중장기 미래가 좌우되는 중요한 순간이 다가왔다고 전망한다. 특히 올해는 시간 효율성을 극도로 높이려는 트렌드가 각광 받으며 분초를 다투며 살게되는 '분초사회'(시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분초를 다투며 산다)가 주목된다고 꼽았다.

 

1일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시간 절약 서비스 관련 U&A 조사'를 실시한 결과, 82.4%가 '시간은 가장 큰 자원'이라고 답했다. '시간이 곧 돈'이라는 인식도 77.7%로 집계되며 시간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는 모습이 극대화됐다.

 

◆ '숏폼' 핵심 콘텐츠…유튜브 사용시간 56%↑

 

최근 콘텐츠 이용자들은 영상의 기본 재생 속도를 1.5~1.75배속으로 설정하는 등 짧게 축약해 보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이에 '숏폼'(짧은 동영상)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며 유튜브 숏츠나 인스타그램 릴스 등 1분 가량의 짧은 영상이 핵심 콘텐츠로 급부상하고 있다.

 

실제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은 숏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틱톡의 지난 3년간 사용 시간이 크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유튜브 앱의 사용 시간을 조사한 결과 한국인의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앱) 사용 시간은 최근 3년간 56% 증가했다. 2020년 10월 671억분이던 유튜브 앱 사용 시간은 지난해 10월 1044억분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비 카카오톡(319억분)과 비교하면 약 3배, 네이버 앱(222억분)보다 약 5배 많은 수준이다. 압독적인 숏폼 시장으로 인해 국내 1위 메신저 플랫폼과 포털 사이트의 입지가 밀려나고 있는 것.

 

이에 네이버와 카카오도 숏폼 시장에 뒤늦게 진입했다. 네이버는 네이버앱을 개편해 숏폼 '클립'을 삽입하고 그리고 자사 서비스를 연계했다. 숏폼을 보다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바로 클릭해 살 수 있으며 가고 싶은 장소도 예약할 수 있다.

 

특히 1020세대는 TV시청 보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가장 많이 이용하며 유튜브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2023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OTT 이용률은 77%로 전년(72%) 대비 5.0%포인트(p) 증가했으며, 연령별로는 20대(97.8%)와 10대(97.6%)의 이용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로 이용하는 OTT는 유튜브 71%, 넷플릭스 35.7%, 티빙 9.1%, 쿠팡플레이 6.3% 순으로 집계됐다.

 

이는 분·초 단위로 시간을 쪼개 쓰며 효율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라이프 스타일이 현실화됐음을 보여준다. '시성비'(시간의 가성비)를 높이기 위해 돈 보다 시간을 중시하는 '분초사회'에 본격 진입한 것이다.

 

오늘 수거 비대면 서비스 신청 과정./오늘 수거 앱 캡쳐 이미지

◆시성비 높이는 '가사 서비스 플랫폼' 급성장

 

분초사회를 맞이하면서 시간을 아껴주는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집안일에 소비되는 시간을 줄여주기 위해 등장한 가사 서비스 플랫폼의 성장세는 매년 가파르게 치솟고 있다.

 

먼저 분리수거를 대신해주는 '오늘수거'라는 쓰레기 수거 플랫폼이 등장했다. 오늘수거 서비스는 무엇이든 문 앞에 두고 수거 요청을 하면 업체가 모든 쓰레기를 분리수거 해가는 형식이다. 종량제 봉투도 세척도 분리수거도 할 필요 없다.

 

지난 12월 31일 '오늘수거' 비대면 쓰레기 수거 서비스를 이용한 후 사진. 오늘수거 측에서 종량제 봉투 대신 웰컵키트를 제공했다./구남영 기자

지난해 31일 기자도 연말 대청소를 맞아 '오늘수거' 앱에서 쓰레기 수거 서비스를 신청했다. 이용자는 세척이나 분리가 번거로운 배달 음식 쓰레기, 재활용 쓰레기 등 가정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한 곳에 담아 문앞에 두고 수거를 요청하기만 하면 된다.

 

실제 이날 저녁 7시에 신청한 쓰레기는 새벽 2시에 수거해갔다. 다 먹은 배달음식 쓰레기도, 일반 재활용 음식물 쓰레기도 모두 수거해간 것. 첫 이용시 때만 종량제 봉퉁에 쓰레기를 담아두면 이후에는 업체가 제공하는 웰컴키트에 담아 문 앞에 두고 수거를 요청하면 된다. 2KG 가 넘는 쓰레기 양임에도 10000원 초반대를 지불했다. 대량 쓰레기가 발생할 경우 집안일 소요 시간까지 고려하면 꽤 합리적인 가격이었고 재이용할 의향이 있다.

 

또한 비대면 모바일 세탁서비스인 '런드리고'의 지난 2022년 전체 매출은 370억원을 달성했다. 지난해 3월 월 매출은 50억원을 돌파하고 상각전 영업이익(EBITDA) 흑자를 달성했다. 런드리고의 이용자 수도 급증하고 있다. 2022년 기준 46만명에서 지난해 10월부터 65만명을 돌파했다.

 

런드리고는 모바일 앱을 통해 10시 전까지 수거 신청 버튼을 누르고 수거함에 넣어두면 이틀 뒤 오전 7시 전까지 받을 수 있다. 직접 세탁을 하거나 세탁소에 맡기거나 찾으러 갈 필요가 없다. 물론 운동화부터 두꺼운 패딩까지 세탁이 모두 가능하며, 세탁물을 맡기기 전 오염부분과 옷의 상태까지 모두 사진을 촬영해 이용자에게 전송한다.

 

런드리고는 최근 부산으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약 200억원을 투자해 신발 브랜드 위버즈의 부산 공장을 인수하고 부산시에서도 비대면 세탁 서비스를 운영한다. 이밖에도 홈클리닝 서비스 플랫폼 '청소연구소'도 매월 평균 10%씩 이용자 수가 늘어나고 있다. 이용자들이 원하는 부분 청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사 도우미중개 플랫폼이라는 개념을 벗어나 개인 맞춤형 청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

 

2024년 푸른 용의 해, 시간이 희소자원이 되면서 시간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새해를 맞이했다. 빠른 변화에 적응하면 청룡과 같은 새로운 기회를, 기존 방식에 의존한다면 도태될 수 있는 우리 경제의 중장기 미래가 좌우되는 순간이 다가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