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치 한국 사업 종료 발표에 스트리밍 플랫폼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트위치 스트리머들의 이동으로 스트리밍 플랫폼 간 인기 스트리머 확보 경쟁과 이동하는 스트리머 간 인지도와 순위 점유를 위한 콘텐츠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자극적인 콘텐츠가 스트리머와 플랫폼 양쪽에 큰 수익이 되는 만큼 이용자들의 단속과 플랫폼의 책임이 여느 때보다 요구된다.
12일 IT 업계에 따르면 스트리밍 플랫폼 트위치가 내년도 2월 27일을 마지막으로 사업을 철수하기로 하면서 스트리머들의 이동이 시작됐다. 이에 트위치를 기반으로 활동하던 스트리머들이 각기 유튜브와 아프리카TV 등 타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시범 방송을 여는 등 다양한 움직임이 포착된다. 수십만 명의 구독자를 확보한 코뚱이, 룬레이, 뚜뚜형, 이승빈 등이 아프리카TV로, 미미미누와 플레임TV가 유튜브로 옮길 것을 확정했다.
트위치가 내년 2월 사업을 종료해도 한국 서비스만을 종료하는 만큼 해외 플랫폼으로써 이용할 수는 있다. 다만 한국 내 스트리머는 트위치를 통한 수입 창출이 전부 불가능해지고 시청자 또한 유료 콘텐츠 구매를 할 수 없고 영상 송출 시간 지연 등 불편이 있을 수 있다. 트위치는 "대부분의 국가 대비 10배 이상 비싼 한국의 네트워크 수수료로 운영이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고 더는 운영을 지속해 나갈 방법을 찾을 수 없게 됐다"며 사업 종료 이유를 밝히고 스트리머들의 안정적인 플래새폼 이동을 위해 타 서비스 중개를 돕겠다 덧붙였다.
트위치 사업 종료 후 무엇보다도 트위치 스트리머들의 대대적 이동에 따른 타 플랫폼의 반사이익과 해당 플랫폼 내 스트리머들의 입지 등이 큰 화두로 올랐다. 대형 스트리머들의 경우 연간 수입이 중소기업에 맞먹는데, 플랫폼 수수료가 대체로 30~20% 수준으로 책정되는 만큼 영입에 성공한 BJ가 많을수록 플랫폼은 이득이다. 스트리머들의 이동과 정착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도 우려된다. 특히 중소형 스트리머들의 경우 트위치 스트리머나 원 플랫폼 스트리머나 새로운 경쟁체제를 맞는 만큼 과도하게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콘텐츠를 시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프리카TV 별풍선 집계 사이트 풍투데이에 따르면 올해 가장 많은 별풍선을 받은 BJ는 9일 기준 BJ 커맨더지코다. 그가 받은 별풍선은 3억 6453만여 개에 달하는데 이는 현금으로 400억 9800만원에 달한다. 베스트BJ로서 10% 절감한 플랫폼 수수료 20%를 고려하면 BJ커맨더지코가 벌어들인 수익은 1년간 291억 원에 달한다. 아프리카TV 또한 BJ 한 명으로 80억 원을 벌어들였다. 문제는 그가 큰 수익을 거둔 비결이 '선정성'으로 꼽힌다는 점이다. 그는 이른바 '액셀방송'으로 불리는 다수의 여성 BJ간 경쟁방송을 진행한다. 시청자가 여성 BJ를 지목해 별풍선을 주면 지목된 사람이 나와 춤을 추고 교태를 부린다. 이 과정에서 확보한 별풍선 비율 대로 섭외비가 지급되기 때문에 여성 BJ들이 과도한 노출과 선정적인 상황을 연출하기도 한다.
현재 트위치 스트리머들은 아프리카TV, 유튜브, 킥, 치지직 등을 후보로 낙점한 분위기다. 뚜렷하게 구분되는 콘텐츠 성향과 스트리밍 생태계, 장단점으로 뚜렷한 강자가 보이지 않는 상태다. 다만 네이버의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이 오는 19일 베타서비스를 시작하는 만큼 여기에 관심이 집중돼있다.
네이버는 지난 8일부터 '기존 플랫폼 팔로워 1만 명 이상'을 기준으로 베타테스트에 참여할 스트리머를 모집하고 있다. 이보다 앞서 11월 트위치의 초대형 스트리머들과 미팅을 진행하는 등 스트리머 모집에 적극적이다. 이탓에 스트리머 영입을 위한 혜택이 추가적으로 공개 될 것이라는 기대가 퍼져 사실상 아프리카TV와 유튜브로 옮긴 스트리머들까지 관심을 갖고 있다. 다만 네이버가 2대 포털 사이트 중 하나로써 저작권 문제에 민감하고 자극적이거나 선정적인 제재에 적극적이란 점과 현재 게임 스트리밍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다른 영역의 스트리머들로서는 다소 흥미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더불어 치지직의 이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네이버 계정이 있어야 해 해외 시청자 유입이 어려운 점도 문제로 꼽힌다. 그러나 이미 167만 명의 구독자를 가진 양띵이 속한 양띵크루를 시작으로 김도, 나무늘보, 살구 등 대형 스트리머들의 이적이 확정된 상태다.
IT업계 관계자는 "대부분 스트리머와 이용자는 건전한 방송을 선호하지만 수익이 높지 않다"며 "빠른 속도로 순위를 올리고 인지도를 얻기 위해서는 여성은 선정성, 남성은 폭력성이 가미 돼야 한다는 게 현 개인방송업계의 인식과 현실이기 때문에 플랫폼들의 경계가 여느때보다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