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ChatGPT 공개 1년] (中) 디지털 격차 아닌 'AI 격차' 온다

image
지난 3월 국제미래학회가 개설한 '챗GPT 사용법과 활용법' 실전 공개특강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20대 대학생부터 70대 전(前) 대학총장까지 참석해 학습에 열의를 보였다. /국제미래학회 

 

쉬운 사용법과 무료 서비스인 ChatGPT가 오히려 이용자 간 격차를 크게 벌리고 있다.

 

IT업계와 다양한 설문조사기관에 따르면 최근 챗GPT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데 다양한 집단 간 이용률 차이가 크게 벌어지고 있다. 챗GPT의 활용능력이 추후 개인 업무 능력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관련 교육을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등에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챗GPT를 둘러싸고 나타나는 디지털 격차는 기성 디지털 격차에 관한 조사와 비슷하게 나타난다. 젊은 집단과 고소득 집단이 더 많이 이용하고 고령자 집단과 저소득 집단에서 이용률이 떨어진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챗GPT를 가장 활발하게 이용했다고 응답한 집단은 20대 16%, 30대 12%였으나 60대 이상에서는 1% 미만이었다. 특히 성별격차도 나타나 여성 집단은 10대를 제외하고 모두 같은 연령대 남성보다 이용 경험이 낮게 나타났는데, 60대 이상 여성층에서는 0%까지 떨어졌다.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도 있었다. 월 소득이 높을수록 이용 경험이 많았고 가장 높은 소득집단과 낮은 집단 간 이용률 차이는 4%를 기록했다. 직업군에 따른 차이도 컸다.농/임/어업 종사자와 자영업, 전업주부는 2% 수준에 머물렀지만 학생은 14%, 사무/관리직 종사자는 9%를 기록했다.

 

IT업계 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은 챗GPT 교육의 필요성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디지털 격차라는 말이 AI 격차로 변화 될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기업의 수요가 AI 활용 인재로 빠르게 이동하는 만큼 격차가 곧 경제적 격차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고 받아들인다.

 

지난 4월 세계경제포럼(WEF)은 프롬프트 엔지니어 또한 연간 최대 33만 5000달러에 달하는 높은 연봉을 받는 유망 직업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챗GPT를 대표로 하는 생성형 AI 솔루션을 안내하고 원하는 결과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전문가로 채용시장에서 수요가 눈에 띄게 포착되고 있다. 지난 5월 링크드인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초부터 전 세계적으로 프로필에 'GAI', '챗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프롬프트 크래프팅'이라는 용어를 추가한 회원 수가 매달 평균 75% 증가했다. 또 지난 1년간 1만 건 이상의 구인공고에서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언급되고 이를 명시한 공고는 100건에 달하는 등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수요가 늘고 있다.

 

대중 또한 이미 챗GPT 등 AI 활용 능력에 따른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9월 진행한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77.6%는 "챗GPT가 활성화된 시대에는 개인의 정보 활용 능력에 따라 격차가 매우 크게 벌어질 것"이라고 예상했고 또 52.6%는 "스스로 정보 이해 및 활용 과정에서 뒤처진다는 생각을 해본 경험이 있었다"고 밝혔다.

 

김명주 서울여대 교수는 "검색엔진을 활용할 때 들어간 적지 않은 노력과 시간을 챗GPT는 대폭 줄여주는데, 이는 곧 잘 활용하는 개인이나 조직이 비교우위에 있는 역량을 보유하게 된다는 뜻"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김은수 서울대 인공지능정책 이니셔티브 박사 또한 "생성 AI 시대에 심화할 디지털 디바이드(정보화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 대학 교육에서나 평생교육에서나 정부가 지식 격차를 좁힐 기반 시설이나 교육 시스템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