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위안화와 일본 엔화, 한국 원화가 모두 약세를 이어감에 따라 아시아 외환시장이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렵게 됐다. 위안화와 엔화의 약세가 '역대급'이라지만 지난달 달러 대비 평가절화된 폭으로 보면 원화의 약세가 가장 두드러졌다. 역대 최대로 벌어진 한미금리차에 외국인 자금은 이미 빠져나가기 시작했고, 중국발 경기둔화와 부진한 수출까지 한국 경제가 처한 상황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말 부터 이달 8일까지 달러 대비 원화 가치는 4.4%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7월 중순만 해도 1260원대로 안정을 찾았지만 지난달에는 1340원대를 돌파하기도 했다. 달러 강세가 재연됐다지만 엔화(-3.7%)와 위안화(-2.7%)보다도 하락폭이 컸다.
원인은 복합적이다.
위안화 약세는 중국은 물론 한국 등 아시아 경제를 코너로 몰 수 있는 리스크로 부각됐다.
중국 역외 위안화 환율은 지난 8일 달러당 7.3647위안으로 2010년 8월 이후 최고치로 상승(위안화 가치 하락)했고, 역내 환율도 7.3439 위안으로 지난 2007 년 12 월 이후 가장 높은 환율 수준을 기록했다. 중국이 변동환율제로 바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중국 경제는 내수와 수출이 동반 악화되는 쌍절벽 리스크에 직면해 있다. 중국의 수출입은 작년 10월 이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부양조치에도 내수 경기의 회복세를 찾아보기 힘들다.
신술위 국제금융센터 책임연구원은 "중국의 경제부진이 시장에서 예상하는 수준을 상회할 경우 여타 아시아 국가들은 실물경제 위축은 물론 금융시장 불안이 가중될 수 있다"며 "최근 중국의 금융시장 영향력을 감안하면 중국발 불안이 금융시장을 통해 글로벌 금융·경제에 파급될 여지는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중국 당국이 경기 부양을 위해 위안화 약세를 용인한다면 파장은 더 클 수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 입장에서 보면 위안화 약세를 통한 수출 경기 회복에 총력을 쏟을 수 밖에 없는 여건이 되고 있다"며 "실제 위안화 약세를 선택한다면 중국 내 디플레이션 리스크의 수출이라는 점에서 글로벌 경제와 외환시장에 적지 않은 파장을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엔화 약세는 한국 경제 대비 일본 경제의 상대적 호조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했다. 실제 한국 증시가 조정이 이어지고 있는 것과 달리 일본 증시는 상승세가 이어졌다.
엔달러 환율은 초완화적 통화정책에 달러당 147.81까지 상승(엔화 가치 하락)해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에다 일본은행 총재가 마이너스 금리의 해제 가능성을 언급하는 등 구두개입에 나섰지만 엔화 약세를 반전시킬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박 연구원은 "작년에 엔화 초약세 현상을 일본 경제의 위기로 바라본 시각이 있었던 반면에 최근 엔화 약세 현상에 대해서는 일본 경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며 "일본 경제는 예상보다 강한 성장 흐름을 유지하고 있지만 국내 경제는 상저하고 기대감마저 약화됐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 서베이 기준으로 일본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예상치가 1.9%로 한국 1.2%를 웃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