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세계로 도약하는 K-방산] '글로벌 방산 미래 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항공·우주·방산 계열사 통합 미래 준비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김승연 회장의 뚝심 경영이 결실을 맺고 있다.

 

한화그룹 통합 방위 산업 계열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대규모 수주를 이어가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과거 삼성을 비롯해 국내 대표기업들이 수익성 문제로 포기하던 방산 분야에 공을 들이며 꾸준히 기술 개발을 이어온 결과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항공·우주·방산 계열사 통합을 통해 '글로벌 종합 방산 기업'으로 비상을 준비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A1 자주포.

◆한화의 꿈 '한국판 록히드마틴' 완성 바탕엔 '뚝심경영'

 

한화그룹이 글로벌 방산업계에서 주목받은 것은 10여년에 불과하다. 당시 삼성그룹의 방산 회사인 삼성테크윈(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성탈레스(현 한화시스템)등을 인수하면서다. 미국 국방 전문 매체 '디펜스뉴스'가 매년 집계하는 '세계 100대 방산업체 순위'에 이름을 올린 것도 2015년이다.

 

이같은 성장은 세계 최대의 방산 업체인 미국 록히드마틴의 탄생과 비슷한 점이 많다. 미 공군의 주력 스텔스 전투기인 F-22와 F-35를 생산하는 록히드마틴은 1912년 설립된 항공 기업인 록히드와 1961년 만들어진 미사일 전문기업 마틴 마리에타가 1995년 합병하면서 탄생했다.

 

록히드마틴의 성장 배경에는 인수합병이 자리하고 있다. 1996년 로랄과 유니시스의 방위산업 분야를 인수하며 몸집을 키웠고 2015년에는 공격용 헬기 블랙호크와 대통령이 타는 헬기 마린-원 제조사인 시코르스키를 80억 달러에 인수했다.

 

시코르스키를 인수한 뒤 전투기·미사일·통신위성 뿐 아니라 군사용 헬리콥터 부문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했다.

 

한화그룹의 방산 부문의 성장도 비슷하다. 1952년 설립돼 올해 창립 71주년을 맞은 한화 역시 인수합병을 통해 성장했다. 김종희 창업주는 제일화재, 대일유업을 인수하고 경인에너지, 태평개발, 서울프라자호텔 등을 설립했다. 그러나 김 창업주가 1981년 59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하면서 김승연 회장은 29세 나이에 총수직을 물려 받았다. 그러나 한화 리더 특유의 '뚝심경영 DNA'는 한결같았다. 김승연 회장은 1992년 빙그레 계열분리에도 불구하고 방산, 화학, 기계, 관광 분야 회사들을 품으며 한화를 국내 재계 10위권에 진입시켰다. 1982년 한양화학을 인수한 이후에는 제조와 금융, 서비스, 태양광산업 등으로 영역을 넓혔다.

 

한화는 2014년 11월 삼성테크윈(현 한화테크위)과 삼성탈레스(현 한화탈레스) 등 삼성그룹 산하 4개 계열사를 인수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한 단계 도약했다. 또 2016년 두산그룹에서 두산DST(현 한화디펜스)를 인수하면서 2017년에는 순위가 19위(매출 42억1500만 달러)까지 올랐다. 한화는 2015년까지 자산규모 기준 국내 재계 기업 순위 13위였으나 이듬해 8위로 뛰어올랐고 2019년부터는 7위를 유지 중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천무 다연장로켓

◆2022년 사상 최대 실적…수출 기대 커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실적 반등을 본격화한 시점은 러사이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기점으로 볼 수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 자주포는 2001년 튀르키예를 시작으로 폴란드, 인도, 핀란드,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호주, 이집트 8개국과 수출 계약을 맺어졌다. 그만큼 기술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7월 폴란드가 무기를 대량으로 계약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과 브랜드 인지도를 확고히 다지고 있다.

 

한화는 지난해 7월 폴란드와 K-9 자주포 672문 수출 계약을 체결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고 있다. 또 다연장 로켓포인 '천무'도 폴란드에 공급할 계획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밝힌 폴란드 계약고만 K-9이 3조2000억원, 천무가 5조원이다.

 

K9 자주포는 자동 탄약 장전 장치를 장착해 급속 발사 시 15초 이내 포탄 3발을 발사할 수 있고, 분당 6~8발 사격이 가능하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규격 155㎜ 포로 제작돼 서방 탄약과의 호환성이 높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세계 자주포 시장점유율은 50%를 넘어선 상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호주 시장 공략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2021년 호주와 K9 자주포수출 계약을 맺었다. 금액은 1조원이다. 또 지난 7월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개발한 차세대 보병전투장갑차(IFV) AS-21 '레드백(붉은배과부거미)'의 호주 육군 차기 장갑차 사업도 따내는 데 성공했다. 이번 사업은 호주군이 1960년대에 도입한 미국제 M113 장갑차를 교체하기 위한 사업으로, 최종 계약이 체결되면 호주군은 2027년 하반기부터 레드백 129대를 순차 배치한다. 업체와 군 당국은 정확한 사업 규모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수조원대로 전해진다.

 

이를 바탕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6조5396억원, 영업이익 375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18%, 영업이익은 36% 늘어나 역대 최대 수준을 달성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조5179억원, 1766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약 43%와 146% 늘었다.

 

사업부문별로는 지상방산사업이 국내외에서 모두 호조를 보이면서 매출 2조481억원, 영업이익 210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39%, 132% 늘었다. 항공우주사업은 매출 1조3689억원, 영업이익 127억원을 기록했다. 자회사인 한화테크윈은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CCTV 판매가 증가해 사상 처음으로 연간 매출액 1조원을 돌파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85% 증가한 1438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국내외에서 수주한 13조원의 물량을 생산하기 위해 투자와 고용을 늘릴 계획이다.

 

또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래 먹거리 확보에도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선보인 미래형 다목적무인차량 '아리온스멧'도 그 중 하나다. 아리온스멧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2016~2019년에 민군 기술협력사업으로 개발한 4륜형 보병 전투지원용 다목적 무인차량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인명 피해가 우려되는 교전 현장에서 환자 후송, 물자 운반, 감시·정찰, 원격 수색, 근접 전투 등 다목적 임무 수행 용도로 개발됐다.

 

전기차인 아리온스멧은 중량이 2톤급으로 550㎏을 실을 수 있으며 1회 충전에 100㎞ 이상을 주행할 수 있다. 포장로에서 시속 43㎞, 비포장로에서 34㎞ 최고속도를 낸다. 통신거리는 1.1㎞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래형 다목적무인차량으로 선보인 '아리온스멧'

◆국내 제조 생태계 구축…항공·우주·방산 계열사 통합 미래 준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탄탄한 국내 제조 생태계 구축을 바탕으로 미래 경쟁력 확보에 집중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정부가 국방분야 중소기업 육성을 목적으로 추진하는 부품국산화 지원 사업을 적극 활용해 협력업체의 부품국산화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이 기술혁신형 방산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 또 중소기업 역량강화를 통해 국내재료비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함으로써 자주국방력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특히 그룹의 역량을 모아 기술개발에 주력하며 수출 주력기종인 K-9 자주포와 천무 발사대의 기술 내재율을 각각 92%, 98%까지 끌어올렸다. 또 부품국산화를 위해 다양한 연구기관, 국내 중소기업들과 손잡고 산학연 컨소시엄도 구성했다. 부품국산화 개발 확대로 국내 재료비 비중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우리 기술이 세계시장을 석권한 이유는 꾸준한 기술개발과 내수에 기반한 고율의 생산라인을 유지한 덕분이다"며 "반면 미국이나 유럽 등은 냉전 이후 모두 대규모 전면전을 상정한 자주포 개발 및 생산을 줄였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북한의 위협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냉전 이후에도 국산화를 통한 기술 개발을 지속하고, 고율의 생산라인을 유지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4월 항공·우주·방산 사업 완전체로 공식 출범했다. 지난해 말 한화디펜스에 이어 올해 초 한화방산을 합병, 3사 통합을 완성한 것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오는 2030년 매출액 40조원, 영업이익 5조원을 목표로 내놨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올해 상반기 열린 '뉴비전 타운홀' 행사에서 방산사업 영역을 확대하는 '토털 디펜스 솔루션', 우주사업을 확대하는 '에어로스페이스 글로벌리더',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으로 진출하는 '뉴 모빌리티 패러다임 드라이버'라는 3개의 사업 방향을 제시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지상 방산 부문 수주 잔고

 

2020년 12월 말 = 3조1010억원

 

2021년 12월 말 = 5조715억원

 

2022년 12월 말 =19조7772억원

 

2023년 3월 말 = 19조972억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