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식물을 사랑하는 젊은 '식(植)집사'들을 향한 유통가의 구애가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중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며 급성장한 반려식물(취미 원예) 시장은 최근 '플랜테리어'란 용오까지 생길 정도로 계속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플랜테리어는 식물(Plant)와 인테리어의 합성어로 공간과 식물의 조화로움을 추구하는 인테리어다.
주요 유통기업들은 봄을 맞아 반려식물 구입과 재배에 나서는 사람들이 더욱 늘자 발빠르게 기획전을 마련하고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반려식물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관련 매출 또한 크게 진작 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21년 화훼 시장 규모는 5350억원 규모로, 이 중 화분에 키우는 분화류는 2077억원이다. 한국도시농업연구회가 추정한 국내 정원산업(원예·유통산업 포함) 규모는 1조7000억원 수준에 달한다. 취미 원예는 코로나 사태를 거치며 건강을 위한 식용채소와 공기정화 식물부터 관상용 화초와 정원식물까지 조명하며 큰 성장을 이뤘다.
시장이 성장하면서 '반려식물 병원'까지 등장했다. 서울시는 최근 반려식물 취미가 늘어남에 따라 서울 서초구 내곡동 농업기술센터에 반려식물 병원을 열었다. 반려식물의 생육상태에 따라 맞춤형 처방을 내리고 심각한 경우에는 입원실에서 3개월까지 집중 치료도 제공한다. 진단실과 처방실, 입원치료실을 갖췄으며 시민들에게 기본적인 재배방법을 알려주는 실습장도 마련했다. 서울시는 올해 상반기 4곳을 시범 운영한 후 전체 자치구로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반려식물 관리에 어려움과 부담을 느끼는 시민들이 건강한 취미생활로 식물을 접하며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병원 운영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반려식물'이라는 용어가 나타나게 된 것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원예 취미는 원래 마니아층이 확실했지만, 반려식물이란 말이 나타난 것은 코로나19 사태 때였다"며 "과거 원예상품 소비는 공기 정화와 식용에 치우쳤다면 최근에는 식물 자체를 가꾸는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 주거형태는 대부분 아파트인 관계로 정원을 꾸밀 수가 없다. 대신 실내에서 화분을 놓고 기르다 보니 인테리어와 긴밀한 영향을 맺는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유통기업들은 식물을 심고 가꾸는 계절인 봄이 오자 3월부터 본격적으로 관련 이벤트를 쏟아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리빙, 인테리어와 결합한 형태의 이벤트가 계속되고 있다.
오늘의집은 23일까지 '식물자랑 콘테스트' 이벤트를 연다. 해시태그와 함께 자신의 반려식물을 자랑하거나, 키우는 꿀팁을 이벤트 페이지에서 나누면 오늘의집 포인트를 증정한다.
이케아는 18일까지 봄맞이 플랜테리어를 위한 상품 기획전을 진행하며 ▲초보 식집사의 작은 공간 ▲식물과 아이가 함께 자라는 공간 ▲식물맥시멀리스트를 위한 수납 등 세 카테고리로 상품을 소개한다.
컬리는 5일 식목일을 맞아 절화는 물론 화분 상품군까지 반려식물 상품군을 대거 확충했다. 김신희 컬리 MD는 "따뜻한 봄과 식목일을 맞아 식물과 꽃을 찾는 수요가 늘면서 콜드 체인 배송으로 신선하게 받아볼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을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화훼 농가와 협력과 상생을 위해 다양한 노력할 펼칠 계획이다"고 말했다.
신세계까사도 4일부터 온라인플랫폼에서 홈가드닝 상품을 제안하는 '식집사의 그린라이프' 기획전을 진행했다. 가드닝 관련 홈데코 상품을 10% 할인가에 구입할 수 있는 쿠폰을 증정한 것은 물론, 공기정화식물을 손쉽게 키울 수 있는 반수경재배 키트와 공간에 포인트가 되는 가드닝 용품도 다양하게 마련했다. 인테리어 효과가 있는 독특한 디자인의 화분을 비롯해 화사한 컬러의 화분 커버와 화분용 코스터(화분 아래 깔아 두는 매트) 등을 선보였다.
쿠팡은 지난 3월 연 리빙페어에서 처음으로 플랜테리어 트렌드를 반영했다. 각종 가드닝 용품과 책장, 테이블, 스툴 등 원목으로 된 가구 등을 대거 구성했다. 초보자도 쉽게 홈 가드닝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루의 공간, 월드가드닝, 모리앤 등 감성 식물 인테리어 브랜드들의 대표 상품들을 엄선해 꾸렸다.
르쿠르제도 신제품으로 5가지 색상의 프리미엄 스톤웨어 화분을 출시하고 전국 백화점 매장에서 판매를 시작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