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김해시, 진영단감 시배지 경남도 기념물 지정 추진

김해시가 진영 단감 시배지의 경남도 기념물 지정을 추진키로 했다/사진제공=김해시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단감을 재배한 곳으로 알려진 김해시가 시배지 명칭을 딴 진영단감의 경남도 기념물 지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최근 시배지로 알려진 진영읍 신용리 시배목 추정 단감 고목 1그루의 수령을 2가지 방식으로 확인한 결과 단감을 최초로 식재했다고 전하는 각종 사료의 식재 시기와 일치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를 근거로 시는 장군차 시배지로 알려진 동상동, 대성동 일원 장군차 서식지가 2017년 6월 경남도 기념물 제287호로 지정된 것처럼 진영읍 신용리 일원 단감 군락지를 도 기념물로 지정받아 역사성을 인정받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시배목 수령 확인은 전 국립산림과학원 정영교 박사와 전남대학교 산림자원연구센터에서 각각 드릴저항진단과 시료단면 미세현미경 정밀진단으로 진행해 '수령 94년 전후'로 확인했으며 이는 1927년 최초 식재 기록과도 정확히 일치한다.

 

'진영읍지(2004년)'와 경남농업기술원의 '경남농업기술100년(2008년)' 등 다수의 자료에 따르면 진영단감은 1927년 진영읍 신용리를 중심으로 최초 재배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당시의 객관적인 근거자료와 과학적 입증이 다소 부실해 시배지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진영단감 시배지와 시배목 지위를 인정받기 위해 오랜 시간 전문기관 용역을 거쳐 설득력 있는 다수의 자료를 찾아냈다.

 

첫째, 조선총독부 인명록과 당대(當代)의 보도자료, 정부기록문서 등을 면밀히 조사한 결과 진영역장으로 소개된 하세가와(일본인)와 그의 도움으로 진영리, 하계리에 단감 100주를 식재한 진영 거주 3명의 행적을 모두 확인했으며 1934년 단감 유통을 위해 진영과물출하조합이 조직되어 진영역을 통해 1930년대부터 전국으로 진영단감이 널리 보급되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둘째, 부산일보 1937년 12월 5일자 기사에 '우리나라 최초 단감과원품평회를 1937년 9월 28∼29일 양일간 개최하였고 그해 12월 진영면사무소에서 경남도 농무과장, 김해군수, 지방유지 등이 참석한 시상식이 성대하게 열렸다'는 기록을 발견했다. 셋째, 1933년 일본인이 저술한 '조선의 특산물은 어디에 있는가'라는 책에 '진영의 단감은 진귀한 물건 중의 하나다'라고 기록돼 있다.

 

넷째, 1938년 경남도청의 알선으로 단감 명산지 진영에서 단감 전문가를 초빙해 재배기술 강습회를 했다는 자료, 1947년 최갑시의 '진영단감에 대하여'라는 원예잡지 창간호에 투고한 자료, 1920년대 김해 진영을 필두로 단감이 재배되었다는 1964년 농촌진흥청 보고서, 1995년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농림수산식품부의 지역별 농어촌산업화 자원 현황 등 무수히 많은 자료가 진영이 단감 시배지라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역사적이고 사실에 근거한 자료를 토대로 진영단감 시배지를 도 기념물로 등재할 계획이며 기념물 등록을 밑거름으로 국가와 도 중요농업유산 등재에도 노력할 것"이라며 "단감 과원의 ICT화, 품종 갱신, 판로 다변화 같은 차별화 전략으로 지속가능한 단감산업 미래가치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해에는 1,000여 농가에서 920㏊ 면적에 단감을 재배 중이며, 올해 38회째를 맞는 진영단감축제가 오는 11월 4~6일 진영운동장 일원에서 열린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