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IT 기업이 메타버스 사업 확장에 속력을 내는 분위기다. 이에 국내 업계는 메타버스 기술을 구현할때 필요한 기술력을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7일 IT 및 게임업계에 따르면 중국 인터넷 서비스 전문기업 텐센트와 게임 서비스 개발 업체 넷이즈가 AI기술을 접목한 메타버스 사업에 뛰어 들었다.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한 2022 세계인공지능 컨퍼런스에서 넷이즈와 텐센트는 메타버스와 AI 신기술 개발에 대한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우선 텐센트의 AI연구소인 유투랩은 컨퍼런스를 통해 "메타버스 비즈니스를 위한 AI기술에 박차를 다하고 있다"며 "메타버스의 수요를 위해 AI기술 개발에 총력 다 할 것"이라고 전했다.
유투랩은 특히 포토샵 등을 통해 피부보정, 신체부위를 축소 한 사진을 원본으로 복원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중이다. 이를 통해 가상인간, 시뮬레이션 등 메타버스 관련한 게임분야에 앞서 기술을 접목하겠다는 계획이다.
텐센트는 유투랩을 필두로 확장현실 전담 TF 팀을 구축하는 등 메타버스 사업 확장에 속력을 내겠다는 방침이다.
실제 텐센트는 세계 최대 게임 회사로 메타버스 활용이 가장 활발하다.
텐센트는 지난해 첫 메타버스 프로젝트 'Zplan'을 가동시키며 세계 최대 샌드박스 게임사인 로블록스(Roblox)에 5.2억 달러를 투자한 바 있다.
다음으로 중국2대 게임사인 넷이즈는 3D 온라인 화상 플랫폼 '야오타이'를 선보였다.
야오타이는 그래픽 렌더링 과정을 클라우드 환경을 통해 구현했고 12종의 회의 환경과 100개 이상의 개인 아바타를 꾸밀 수 있는 장신구, 아이템들이 포함돼 있다.
넷이즈는 AI실험실을 구축하고, 세계 최초로 모바일 게임 가상공간에서 AI회의를 개최했으며, 지난해 부터는 하이난 정부와 협업하여 '메타버스 기지 구축' 계획을 발표하고 나섰다.
컨퍼런스에서 류바이 넷이즈 총괄은 "게임 개발을 위해 야오타이를 구현했다"며 "온라인 전시 기능을 구축하는게 목표"라고 말했다. 여기에서 온라인 전시 기능 구축은 네이버의 '제페토'에서도 활용중인 비즈니스 모델이다.
뿐만 아니라, 중국내 다양한 기업들이 메타버스 사업 구축에 총력을 다하는 분위기다.
알리바바는 물류, 금융,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및 전자상거래 활용을 통해 XR 실험실을 구축하는 등 VR, AR, XR 투자에 집중한다.
이어 세계 최대 검색엔진 기업인 바이두는 지난해 메타버스 플랫폼 '시랑'을 공개했다.
또 중국 대표 숏클립 동영상 기업 바이트댄스는 지난해 VR 제조사 피코를 인수해 하드웨어까지 확대했고 메타버스 보유 기업 투자로 기반을 구축했다. 여기에 자체 메타버스 플랫폼 2개를 출시했다.
◆중국, 메타버스로 소비·산업 동시에 성장할 것
이처럼 중국이 메타버스 산업에 적극적인 이유는 중국은 소비와 산업이 모두 왕성하게 이뤄지는 국가로, 메타버스도 소비(2C)와 산업(2B), 2개의 경로에서 모두 빠르게 성장중이며, '메타노믹스'로의 발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는게 업계 중론이다.
실제 중국 현지 내 메타버스 시장 규모는 2021년 약 443억 위안(한화 약 8조 7926억 원)에서 2025년에는 4,500억 위안(한화 약 89조 3169억 원) 까지 늘어나 약 10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중국 내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메타버스 투자 및 인수가 활발하며, 주로 게임과 클라우드 분야에 이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중국 중앙 정부는 메타버스 시장의 과열을 경고하고 나섰지만 올해 초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첨단산업 육성은 피할 수 없는 선택으로 민간협업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 모색해야 한다고 입장을 바꿨다.
업계 전문가는 "중국은 아직까지 빅데이터와 블록체인 등의 투자 규모가 크지 않지만 향후 관련 산업이 성숙해지면 메타버스 사업이 더욱 확대 될 것으로 보여진다"고 전망했다.
◆ 국내 업계, 중국에 기술력 뺏길까 우려
이같은 중국의 움직임에 국내 관련 업계는 과거 K뷰티 열풍 당시 한국이 보유한 화장품 산업 개발 기술력을 중국이 가로채면서 C뷰티로 전락한 사례를 예로 들면서 중국이 메타버스 관련 필요한 기술을 한국에서 찾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K뷰티 열풍으로 전례없는 황금기를 누린 국내 화장품 업계가 중국에 기술력을 빼앗기면서 C 뷰티로 전락한 사례가 있다. 당시 국내 굵직한 화장품 회사의 연구원을 중국이 막대한 돈으로 대거 스카웃 하면서다. 이후 중국 현지에 한국과 비슷한 화장품이 대거 생겨났고 관련 산업이 활성화 되기 시작했다. 이에 K뷰티는 한계에 다달았다"며 "메타버스 관련 사업도 이와 마찬가지다. 전 세계적으로 앞서고 있는 한국의 AI, AR, XR 등의 신기술을 또 중국이가로챈다면 앞서 상황과 똑같은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같은 기술력을 뺏기면 국내 게임, IT 업계가 목표로 하고 있는 정점에 도달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또 다시 도태되는 건 시간 문제"라고 우려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