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게임

[플랫폼이 바뀐다] ③크로스 플레이부터 이종 산업 진출까지…플랫폼 외연 넓히는 게임

엔씨(NC) 크로스 플레이 서비스 '퍼플', 리니지M 서비스 시작 이미지. /엔씨소프트

# '리니지'로 유명한 엔씨소프트는 5일 콘텐츠 기업 CJ ENM과 손잡고 연내 합작법인을 설립키로 했다. 이미 엔씨소프트는 자회사 클랩(KLAP)을 신설해 올 초 K팝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인 '유니버스'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 뿐 아니라 인공지능(AI), 디지털 증권사 설립까지 발표해 게임 뿐 아니라 자사가 보유한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생태계로 플랫폼을 확장하고 있다.

 

# KT는 자사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게임박스'를 NHN의 온라인 게임 포털 '한게임'에 론칭했다. 클라우드 게임 대중화를 위해 게임포털과 협력해 게임박스 이용자들의 생태계를 넓히기 위해서다. PC를 통해 한게임에서 제공하는 게임박스 페이지를 들어가면 간단하게 ID를 생성해 PC, 모바일, IPTV를 활용해 언제 어디서나 게임박스의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호모 루덴스(놀이하는 인간)'의 시대, 놀이를 통해 몰입하고 즐거움을 느끼는 가치가 코로나19 시대에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특히 게임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집콕족'이 늘면서 대표적인 비대면 콘텐츠로 부상해 소비 또한 크게 늘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20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2019년 국내 게임 시장 규모는 15조5750억으로, 전년 대비 9% 늘었다. 올해 국내 게임 시장 규모는 2019년 대비 9.2% 상승한 17조93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게임 시장 전체 규모 및 성장률(2010~2019년). / 2020 대한민국 게임백서 발췌

◆ 모바일·PC·콘솔, 어디서나 즐기는 '크로스 플레이' 대세로…클라우드 게임도 '활발'

 

게임사들은 모바일이나 PC, 콘솔 등의 플랫폼을 활용해 자사 게임 생태계를 구성한다. 최근에는 플랫폼을 확장하는 '크로스 플레이'가 대세로 떠올랐다. 이를 통해 모바일 뿐 아니라 PC와 콘솔, 새로운 서비스인 클라우드 게임까지 한 게임을 멀티 플랫폼에서 즐길 수 있다.

 

대표적으로 넥슨은 PC와 엑스박스 이용자 간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하는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를 2019년 공개했고, 엔씨소프트 또한 모바일 게임 '리니지2M'을 출시하면서 크로스 플랫폼인 '퍼플'을 선보이기도 했다. 넷마블 또한 자사 IP '세븐나이츠'를 활용한 최초의 콘솔 게임을 내놓기도 했다. 펄어비스 또한 '검은 사막 콘솔'에 플랫폼 간 경계를 허문 크로스 플레이를 시작했다.

 

크로스 플랫폼은 콘솔게임이 강세를 보이는 해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이기도 하다. 크로스 플랫폼을 통해 자사 게임 IP 생태계의 외연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콘솔 게임 시장 매출은 전년 대비 24.9% 증가한 8676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구나 콘솔 게임기 시장 강자인 소니와 마이크로소프트(MS)가 각각 '플레이스테이션(PS)5'와 '엑스박스 시리즈X' 신제품을 출시하며, 콘솔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게임사 뿐 아니라 이동통신사는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을 통해 게임 생태계 형성에 나서고 있다. 클라우드 게임은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실행돼 비싼 하드웨어를 구입하지 않아도 게임을 고품질로 즐길 수 있다. SK텔레콤은 MS와 손잡고 엑스박스 콘솔과 5G 클라우드 게임을 결합한 구독형 게임상품인 '엑스박스 올 엑세스'를 선보였고, KT는 국내 게임사와 손잡고 '게임박스'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LG유플러스 또한 엔비디아와 손잡고 클라우드 게임 '지포스 나우'를 선보였다.

 

PC온라인게임 '카트라이더', 쏘나타 N 라인 제휴 이미지. / 넥슨

◆AI·엔터 요소 활용해 비(非)게임 산업에도 진출…플랫폼 외연 넓힌다

 

게임 회사들의 비게임 분야 진출도 플랫폼 외연을 게임 뿐 아니라 다양하게 넓히기 위한 시도 중 하나다. 금융, 엔터테인먼트, 인공지능(AI)까지 게임사의 정보기술(IT)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산업 간 융합도 본격화 됐다.

 

넷마블이 2019년 코웨이를 인수하며, 시너지 확대에 나선 것이 대표적이다. 아울러 엔터테인먼트 시장에도 지난 2018년 '빅히트' 지분 25%를 200억원에 인수하며 2대 주주에 올라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있다.

 

엔씨소프트는 김택진 대표의 동생인 김택헌 엔씨 수석부사장을 대표로 8억원을 출자해 엔터테인먼트 자회사 '클렙'을 설립하고, 엔터테인먼트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유니버스'를 올 초 출시할 예정이며, CJ ENM과 K팝 엔터테인먼트 분야서 협력을 위해 합작회사도 설립할 방침이다.

 

넥슨은 국내 대표 MCN 회사인 샌드박스네트워크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하며 협업 관계를 구축했다. 이와 함께 이마트, 현대자동차 등과 자사 게임인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IP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IP 사업 다각화에도 나섰다.

 

금융과 산업 융합도 가시화 됐다. 넥슨은 신한은행과 손잡고 신사업 발굴에도 뛰어들었으며, 엔씨소프트는 KB증권과 손잡고 AI 간편투자 증권사를 출범하기도 했다.

 

이용자 수가 의미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늘어나면 입소문을 타고 소셜 기능이 활발히 이용될 수 있고, 네트워크 가치도 증가한다. 이를 통해 자사 게임의 이용자 풀을 넓히는 긍정적인 순환 효과가 유발될 수 있다.

 

게임 업계 관계자는 "게임사의 가장 큰 아이덴티티가 기술을 통해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엔터테인먼트나 인공지능(AI) 등 플랫폼을 다각화 할 여력이 많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