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안성시, 수해복구지원 시스템 재편

 

안성시청사 전경

안성시가 신속한 폭우 피해 복구와 이재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6일부터 수해복구지원 체계를 세분화해 운영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통합 지휘는 안전총괄과에서 맡게 되며, 현장 지원 관리는 죽산면사무소에 설치된 죽산지휘본부에서, 이재민 관리는 복지정책과에서, 공무원과 민간 인력 지원과 이재민에 대한 급식, 간식 지원 등 후생 복지는 행정과에서 각각 전담하게 된다.

 

5일 현재, 안성시의 이재민은 총 153세대, 258명이 발생했으며, 공공시설 234곳, 사유시설 160곳 등 재산피해는 394건으로 집계됐다.

 

폭우로 일부 축산농가에서도 피해가 발생했다. 산사태로 닭 2만 3천수와 돼지 8만 8천수가 피해를 입었다.

 

시는 이들 농가에 대해 가축은 시세의 95%, 축사는 100%를 보상할 계획이다.

 

5일 하루 안성지역에 비가 소강상태를 보이며, 자원봉사자 258명, 공무원 39명, 군인 30명 등 총 328명이 피해현장 곳곳에서 토사 처리나 침수 주택 청소 등으로 구슬땀을 흘렸다.

 

31일 집중 호우부터 5일까지 응급복구를 위해 총 1,446명의 인력이 지원됐다.

 

농경지 침수 700ha에 대해서는 어제부터 피해접수에 들어갔다.

 

시는 정확한 피해조사와 신속한 보상을 위해 주말에도 국가재난정보관리시스템(NDMS)에 피해자료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방침이다.

 

이밖에 죽주산성(경기도 기념물 제 69호)의 동문 진입로 구간 배수 시설과 산사태로 인한 6곳의 사면 유실에 대해, 4곳을 복구하고, 배수시설은 전면 재정비할 계획이다.

 

김보라 안성시장은 "하늘을 막을 수는 없지만, 최선의 노력으로 피해를 최소화하고 복구를 앞당길 수 있다"며 "체계적인 지원과 효율적인 복구로 이재민들의 시름을 덜어드릴 것"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