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증안펀드 운용 50일… ‘묶인 자금’ 불만 속 추후 행보 주목

-'칼집 속 칼' 증안펀드, 운용 후 코스피 13% 상승

 

-일부 출자사들 불만… "조달금리 생각하면 사실상 마이너스"

 

-투자위에서도 의견 분분, 투자지침 변경되나

 

증시안정펀드가 공식 출범한 지난 3월 31일 이후 코스피 지수 흐름. /한국거래소

운용 50일째를 맞은 증시안정펀드(증안펀드) '다함께코리아펀드'의 간판불은 여전히 꺼져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폭락장에서 안전핀 역할을 하기 위해 지난 3월 출범했지만 증시가 빠른 속도로 반등하며 역할을 할 필요가 없어졌다. 예금성 자산으로 묶여있는 1조원을 보며 출자사 사이에선 불만의 목소리도 터져 나온다. 펀드운용에 대한 투자지침이 유연하게 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 속에 투자관리위원회(투자위)에서도 의견이 나뉘고 있다.

 

2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보다 1.07% 오른 2087.19에 장을 마감했다. 연 최저점을 기록했던 지난 3월 19일(1439.43)보다 45.00% 올랐다. 증안펀드 운용이 시작된 지난 4월 9일(1836.21)과 비교하면 13.66% 오른 수치다. 우려로 꼽혔던 외국인 수급도 중립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다.

 

증시가 안정성을 되찾았음에도 증안펀드의 운용 가이드라인은 초안 그대로다. 지수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져야만 가동한다. '일정 수준'의 정확한 기준치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투자위 출범 당시 1500선 정도로 논의됐다. 캐피탈 콜(투자 대상 확정 후 실제 투자 집행 시 자금 납입)을 통해 운용사에 자금을 전달해 주식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지수인 코스피200, 코스닥150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나눠 투자하는 방식이다.

 

현재는 최대 규모 10조원 가운데 처음 투입한 1조원만 머니마켓펀드(MMF) 등의 유동성으로 유지되고 있다. 초기 자금으로 3조원을 계획하고 시차를 두고 유입시킬 계획이었으나 증시 반등으로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 최근 코스피 상승궤도를 생각하면 당초 논의됐던 1500선의 의미도 없어졌다고 볼 수 있다.

 

예금으로 묶인 자금을 보며 일부 출자사들 사이에선 불만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사회 의결까지 거치며 어렵게 자금을 출자했지만 펀드가 수익을 내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지수가 1400선까지 내려갔을 때 증시 안정이라는 대의를 위해 저가 매수를 포기하면서까지 어렵게 마련한 돈"이라며 "조달금리와 기회비용 등 손해를 감내해야 하는 출자사 입장에선 답답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위도 고심 중이다. 한 투자관리위원은 "유동성의 범위를 어디까지 볼 것인가에 대해 위원 간 견해 차이가 있다"고 귀띔했다. 운용 방침을 두고 내부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는 얘기다.

 

그는 "유동성 자금도 고위험·저위험으로 분류된다. 수익을 높이기 위해 리스크를 부담하자는 쪽과 이를 반대하는 쪽이 있었다"며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아 결국 투자방침이 변경되진 않았다"고 밝혔다. 위원들 사이에서 합의만 이뤄진다면 다음 분기 회의 때 투자방침이 변할 수 있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증안펀드 투자관리위원은 총 11명. 강신우 위원장을 비롯해 민간위원 1명과 주요 출자기관인 KDB산업은행과 KB금융지주·우리금융지주·하나금융지주·신한금융지주·농협금융지주, 미래에셋대우, 삼성생명, 부산은행 인사가 1명씩 포함됐다. 유동성 자금을 보다 공격적으로 활용해보자는 주장은 출자한 일부 증권사 사이에서 터져 나왔다.

 

일각에선 조기종료 가능성도 조심스레 나오고 있지만 투자위는 최소 기간인 1년은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민간위원으로 참여한 정재만 숭실대 금융학부 교수는 "증시 상황이 워낙 좋다 보니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 처럼 생각 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며 "시가총액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이 무너지거나 브라질·인도 등 신흥국 증시가 붕괴되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으로 갈 수 있다"고 했다. 이어 "현 장세가 계속된다면 증안펀드를 조기 종료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겠지만 변동성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