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기업 80.9% "핵심인재, 요주의직원과 따로 관리"… "태도→성과중심으로 변화"

기업 80.9% "핵심인재, 요주의직원과 따로 관리"… "태도→성과중심으로 변화"

 

잡코리아, 인사담당자 554명 설문조사

 

핵심인재, 요주의 직원의 직급 분포 /잡코리아

기업 5곳 중 4곳은 조직 내 핵심인재와 요주의 직원을 따로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높은 직무 능력'을 핵심 인재의 가장 큰 특징으로 생각하는 반면, '기대에 못 미치는 낮은 성과'를 요주의 직원의 특징으로 꼽았다.

 

22일 잡코리아가 최근 인사담당자 5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인사담당자 51.6%는 '사내에 다른 직원과는 별도로 관리하는 핵심인재가 있다'고 답했다.

 

핵심인재가 분포한 직급(복수응답)을 물은 결과 △대리급이 47.2%로 절반에 가까웠다. 이어 △과장급이 37.1%로 높았으며, △주임급(26.9%), △사원급(25.5%)의 순이었다. 핵심인재를 직무별로 보면 △기술개발·R&D 직무가 응답률 48.6%로 가장 많았다. 2위는 △마케팅(31.5%)이 차지한 가운데, △경영기획/전략(30.4%), △영업/영업관리(20.6%), △재무/회계(17.5%)이 차례로 이어졌다.

 

반면 핵심인재와 달리 별도의 관리가 필요한 핵심 관리대상 즉 요주의 직원도 있었다(51.3%). 직급별 요주의 직원은 사원급에서 가장 많았다(50.7%). △대리급(34.1%), △과장급(27.8%), △주임급(27.0%)을 꼽는 응답도 이어졌다. 요주의 직원을 직무별로 살펴 보면 △영업/영업관리가 35.9%의 응답률로 가장 많았다. △고객상담/서비스(28.9%), △기술개발/R&D(25.6%), △마케팅(24.4%), △생산/현장관리(22.2%)도 요주의 직원이 많은 직무로 꼽혔다.

 

기업들이 핵심인재를 구분하는 가치가 기존 태도에서 성과 중심으로 달라진 것으로 파악됐다. 2018년 동일 조사에서 기업들은 핵심인재의 가장 큰 특징(복수응답)으로 '조직 결속'(42.4%), '책임감'(35.4%)을 많이 꼽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직무 관련 이해, 능력이 우수'(49.3%)하거나 '기대 이상의 성과'(36.4%)를 내는 직원이 핵심인재의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꼽았다. 이번 조사에서는 아울러 '능숙한 커뮤니케이션'(35.0%), '책임감'(32.5%), '애사심 및 조직결속에 기여'(26.2%), '변화에 능동적이며 혁신적'(25.5%) 등이 특징으로 곱혔다.

 

요주의 직원들의 두드러진 특징(복수응답)으로는 '기대에 못 미치는 낮은 성과(35.6%)'와 '책임감 부족, 잦은 실수(35.2%)'가 대표적이었다. 여기에 '비슷한 업무, 맡겨진 업무만 반복하고 발전이 없다(32.6%)', '직무 관련 이해 부족, 능력 미숙(31.1%)', '근거 없는 소문의 출처 또는 유통경로가 된다(23.0%)', '대외 커뮤니케이션이 미숙하다(19.3%)', '근태관리가 엉망이다(17.0%)'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기업 10곳 중 8곳(80.9%)은 핵심인재와 요주의 직원을 다르게 관리하고 있다고 했다. 그 방법(복수응답)으로는 '성과급 등 별도의 보상 지급'(42.2%), '다른 연봉 수준'(38.4%), '직위/직급 이상(이하)로 권한을 부여하거나 제한'(29.7%), '중간관리자를 통한 직접 체크, 관리'(25.9%), '업무상 독립권, 자율권, 간섭 정도를 달리 한다'(25.2%)는 응답도 이어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