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원이었던 초코파이 한 개가 450원, 신라면은 730원에서 820원, 우유는 3000원에서 3500원, 추석이 끝나기가 무섭게 서민 먹거리 가격이 죄다 오른다. 고물가에 태풍까지 겹치면서 농산물 가격마저 들썩이고 있는데 10월에는 전기, 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도 앞두고 있다.
정부는 추석 이후인 9월, 늦어도 10월에는 물가가 정점을 찍고 내려갈 것으로 봤는데 오판이었다. 더구나 먹거리 물가는 서민, 취약계층부터 파고드는데 정부는 물가 안정 대책이라며 '감세'를 들고 나왔다.
소득이 낮을수록 먹거리 지출 비중이 커진다.
실제 올해 1분기 기준으로 소득 하위 20%는 번 돈의 40% 이상을 식료품과 외식비로 썼다. 소득 상위 20%와 비교할 때 지출 비중이 3배에 달한다.
그런데, 정부는 감세 카드를 꺼내들었다.
법인세 최고 세율을 25%에서 22%로 낮추기로 했다. 종합부동산세도 줄여준단다.
일부 대기업과 고소득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서민들과는 거리가 먼 '부자 감세'란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윤석열 대통령은 "기업이 제대로 뛸 수 있게 해 줘야 중산층과 서민에게 큰 도움이 된다"며 낙수효과를 들먹였다.
여기에 더해 경제수장은 기업들에게 임금 인상 자제를 주문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대기업 CEO들을 만나 "과도한 임금 인상은 고물가 상황을 심화시킬 뿐만 아니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를 더 확대시킨다"고 말했다.
경영주들은 반길 일이지만 최저임금도 못 받는 취약 노동자들은 물가 인상분에 더해 부담이 더 커졌다.
민생 물가 안정과는 거리가 먼 미스매치 정책이 서민들을 두 번 울리고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아직 물가 정점을 예단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말한다. 정부와 달리 물가가 최고점을 찍고 내려오는 시기를 연말이나 내년 초로 예상한다.
최근 지표로는 물가 상승세가 주춤했을지 모르지만 저소득 서민들의 체감 물가와의 괴리는 더 커지고 있다. 다른 건 다 아껴도, 먹거리는 못 줄이기 때문이다.
지난 13일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자발적으로 가격 할인에 나서며 물가 안정에 동참하기로 했다. 어찌보면 정부의 작위적 정책보다 고통을 분담하려는 각 시장 주체들의 진정성에 신뢰가 간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