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연쇄 스팩 러시 예고… ‘이런 스팩’ 담아라

5개 스팩, 연달아 청약 일정 확정
투자 안정성 보장, 큰 매력 요인
합병까지 오랜 시간, 불확실성 주의

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코스닥에 상장한 스팩 다수가 높은 경쟁률을 기록 중인 가운데 총 5개 스팩이 연달아 일반 청약 일정을 확정했기 때문이다. 다만 스팩의 경우 최소 투자원금 회수가 가능하지만, 합병 시기등이 불확실해 변동성이 크다. 일각에서는 대어급 공모주 청약 등이 끝나는 시기인 만큼 투기적 수요가 몰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image

◆이달 말부터 5개 스팩 연달아 상장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IBKS제16호스팩이 오는 24~25일 일반 청약을 받는다. 이후 엔에이치스팩20호(30~31일), 유진스팩7호(2~3일), 대신밸런스제10호스팩(9월6~7일), 신한제8호(9월6~7일)의 청약이 예고됐다. 이처럼 스팩의 기업공개(IPO) 일정인 한꺼번에 몰린 현상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최근 스팩을 향한 인기가 상장 일정을 앞당긴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 5월부터 삼성스팩4호를 비롯한 여러 스팩주들이 가격 급등세를 나타낸 이후 일부 스팩주들의 경쟁률이 수백 대 1을 보인 바 있다. 지난 6월 상장한 삼성머스트스팩 5호는 일반청약 기준 908.5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삼성스팩4호에 몰린 투기적 수요가 일부 향했다는 분석이다. 한화플러스제2호스팩도 지난달 26~27일 진행한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 청약에서 비례배정 기준 993.03대 1, 일반청약 기준 496.5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스팩의 평균 청약 경쟁률이 3.14대 1에 그친 것을 감안하면 놀라운 성과다. 올해 이전에 마지막으로 스팩 경쟁률이 세 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2019년 10월 교보스팩9호가 기록한 135대 1이다.

 

스팩의 가장 큰 매력요인으로는 투자 안정성이 보장된다는 점이 꼽힌다. 국내 스팩은 공모 자금의 90% 이상을 은행 또는 한국증권금융에 예치한 뒤 해당 예치금에 대해 약간의 이자를 지급한다. 한국은 기준을 2년으로 두고 있는 미국과 달리 3년 안에 스팩 상장 후 인수·합병(M&A)을 성사시키지 못하면 투자자에게 원금과 이자(연 1.5~2% 안팎)를 돌려준다.

 

좋은 스팩을 고르는 첫 번째는 우선 주가가 과도하게 하락한 공모가(통상 2000원) 수준의 스팩을 찾아야 한다. 조연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유능한 경영진을 보유했고 ▲상장된 지 오래됐으며 ▲자본규모도 어느 정도 확보한 스팩이 인수·합병 성공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변동성과 불확실성 반드시 인지해야"

 

다만 주의해야 할 부분도 있다. 비상장사 합병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확실성이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합병상장 발표 전까지는 합병 대상 기업도, 합병 시기도 알 수 없다. 합병 이후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 역시 위험 요인이다. 전문가들은 개별 스팩에 대한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반드시 인지한 상태에서 투자하라고 당부한다.

 

조연주 연구원은 "스팩은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라면서도 "실제 해당 기업의 펀더멘털과는 괴리가 존재한다"고 경고했다. 2000년 닷컴 버블 당시 성장성 없는 인터넷 관련주에 자금이 대거 몰렸던 현상과 최근의 스팩 열풍이 비슷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나승두 SK증권 연구원도 "합병과 관련된 특별한 이슈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높아진다면 분명 과열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흔히 말하는 '세력'들의 시세조종 대상이 되기도 하는 점도 불안 요소다. 스팩 특성상 자본금이 대부분 5억원 안팎으로 작고 상장 주식 수가 적어 적은 돈으로도 주가가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5월말 최고가 이후 상장 스팩 중 단기(1~2일)간 10% 이상 급락한 스팩주가 35개로 집계됐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스팩의 주가가 단기 급등한 이후 다시 급락하거나 합병이 실패할 경우 투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 과정에서 시세조종 등 불공정거래로 인한 투자자 피해가 우려된다"고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