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짧아진 '돈 굴리기'…금융권 '초단기 상품' 봇물

은행권, 만기 6개월 이내 '초단기 적금' 적극 판매…최고 금리는 연 10%
저축은행 이어 보험사도 '초단기 상품' 열풍 동참…'연 8%' 저축보험 등장
실제 이자액은 많지 않지만 유동성 높아…'2030세대'·'금리 노마드' 겨냥

image
최근 판매중인 '초단기' 금융상품 비교./안승진 기자

 

금융권이 6개월 이내 만기인 '초단기 금융상품'을 잇달아 출시하고 있다. 은행과 저축은행이 판매하는 '초단기 적금'에 이어 '초단기 저축보험'까지 등장했다. 비대면 금융이 보편화되면서 고객 이동도 활발해진 만큼, 높은 금리를 앞세워 신규 고객을 끌어들인다는 전략이다.

 

5일 각 은행 고시에 따르면 6개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M뱅크)과 4개 지방은행(부산·경남·광주·전북), 3개 인터넷전문은행(카카오·토스·케이)이 취급하는 상품 중 만기가 6개월 이내이며 최고 금리가 연 5% 이상인 상품은 15개다.

 

금리가 가장 높은 상품은 KB국민은행의 'KB스타퀴즈왕적금'으로 최고 금리는 연 10%에 육박한다. 이어 광주은행의 '도전 골든100적금'이 연 7.1%의 최고 금리를 제시해 뒤를 이었다. 은행권 적금 상품 금리가 통상 연 4%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이러한 '초단기 적금' 상품의 금리는 높은 편이다.

 

제2금융권에서도 고금리성 '초단기 금융상품'을 취급한다. 에큐온저축은행은 최고 연 12%의 금리를 제공하는 '나날이적금'을 판매중이며, 웰컴저축은행도 최고 연 10%의 금리를 제공하는 '웰컴 디지로카 100일적금'을 취급하고 있다.

 

초단기 금융상품 열풍에 보험사도 뛰어 들었다. 삼성생명은 지난달 말 최고 연 8%의 금리를 제공하는 6개월 만기 저축보험 상품인 '삼성 팝콘 저축보험'을 출시해 판매 중이다.

 

이러한 초단기 금융상품은 지난해 4월 한국은행이 예·적금 상품의 최소 만기를 1개월(적금 기준, 예금 상품 최소 만기는 6개월)까지 낮추면서 시장에 처음 등장했다.

 

초단기 금융상품은 금리 대비 가입 기간이 짧은 만큼 실제 받을 수 있는 이자액은 많지 않지만, 가입 기간이 짧은 만큼 자금 유동성이 높아 2030 세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금융기관들이 초단기 금융상품을 잇달아 출시하는 것은 비대면 금융 확산으로 영업점 방문 없이도 금융상품 비교 및 가입이 가능해지면서, 금융상품의 유불리를 비교해 복수의 금융기관과 거래하는 고객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각 금융기관이 판매하는 초단기 금융상품들은 우대금리 요건으로 '모바일·인터넷 가입', '자사 모바일 앱 반복 사용', '신규 거래·장기간 미거래', '자사 계좌 사용 실적' 등을 요구하고 있다.

 

높은 금리를 앞세워 금리에 예민한 '금리 노마드(이자가 조금이라도 더 높은 금융상품을 찾아 이동하는 고객)'를 끌어들이고, 자사 모바일 앱 및 계좌의 사용을 유도해 고객 충성도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조달 비용 하락으로 은행권 예·적금 금리 하락이 계속되는 만큼, 자금 운용 방식에 따라 가입 기간이 긴 예·적금 상품에 가입하는 게 유리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초단기 금융상품은 자금 유동성이 높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만기가 길지 않은 만큼 이자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일반 예금보다 낮은 경우도 많다"라며 "예금 금리 하락세도 계속되는 만큼, 자금 운용 방식에 따라선 일반 예적금 상품에 가입하는 게 유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