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K-배터리. "IRA 대비 척척…EU 제재도 대응 준비" 공급망 다각화·투자로 무장

SK온 미국 조지아 공장 전경/SK온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합종연횡으로 대응하며 광물 공급망 다각화를 위한 노력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배터리 3사 모두 부채가 많은 상태지만 '유럽판 IRA' 법안까지 대응해야 할 상황 속에서 투자를 미루기보다는 각종 규제에 대응하며 적극적으로 연합을 구축하는 데 심혈을 기울인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3사로 불리는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은 저마다 전기차 배터리 공급을 위한 투자와 양해각서 체결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IRA에 이어 '유럽판 IRA'라고 불리는 '핵심원자재법(Critical Raw Materials Act·CRMA)'까지 내년 초 통과 예정이라는 소식이 들리면서 배터리 기업들의 발걸음은 더욱 빨라지고 있다.

 

유럽연합(EU) 27개국의 공동 시장 규제를 관할하는 유럽 집행위원회(집행위)는 일찍이 유럽 산업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여러 원료를 '핵심원자재(CRM)'로 지정한 바 있으며, 해당 원자재들은 현재 30여 개에 이른다.

 

이제까지 집행위가 CRM을 규정하고 공급 리스크를 분석하는 연구만 해왔다면, 이제는 '내년 1분기 이내로 입법할 것'이라는 의지를 보이고 있어 배터리 업계를 긴장하게 만들고 있다. 아직 CRMA가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담고 시행될지는 알 수 없지만 IRA와 같이 보호무역주의 성향을 띄지 않을까 염려하고 있다.

 

SK온은 이런 대외적인 상황 속에서도 현대자동차그룹과 북미 전기차 배터리 공급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지난 24일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주요 전기차 공장에 SK온 배터리를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 공급 시점은 오는 2025년 이후가 될 전망이다. 양측은 세부 협력 내용을 추후에 다시 논의키로 했지만 미국 조지아주 인근에 합작 배터리셀 공장을 지을 것으로 예상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제너럴모터스(GM)의 합작사 '얼티엄셀즈'의 미국 내 두 번째 합작공장을 테네시주에 지으며 연합 체제를 이어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호주 시라와 음극재 핵심 소재인 흑연 공급 계약을 맺으며 '흑연'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고 시도하고 있다. 배터리 핵심소재인 흑연은 중국산 비중이 70.4%에 달할 만큼 높다.

 

이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은 향후 5년 내 북미 역내에서 양극재 63%, 음극재 42%, 전해액 100%, 핵심광물 72%를 현지화하는 것이 목표로 내세웠다.

 

삼성SDI는 스텔란티스와 함께 미국 첫 전기차용 배터리 셀·모듈 합작법인을 설립한다. 합작법인은 올해 말 착공에 들어가 2025년 1분기부터 본격 가동된다. 초기 전기차용 배터리 셀·모듈 생산은 연간 23GWh 규모로 시작해 33GWh로 확장할 전망이다.

 

손미카엘 삼성SDI 중대형전지 전략마케팅 부사장은 최근 열린 3분기 기업설명회에서 "앞으로 철저한 준비를 통해 IRA를 미주 사업 성장에 좋은 기회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삼성SDI는 에코프로비엠과 공동 출자한 양극재 생산기업 에코프로이엠은 지난달 경북 포항에 세계 최대 규모 양극재 공장을 준공했다.

 

정부도 대미 IRA 협의와 관련해 상·하원에 각각 발의된 전기차 세액공제 요건을 3년 유예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개정안 통과를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산업통산자원부는 미 의회를 중심으로 설득 작업을 이어갈 계획 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3사 모두 부채가 있긴 하지만 북미 시장이 워낙 크고, 유럽 시장의 수요는 건재하기 때문에 투자를 멈출 수 없다"며 "공급망 다각화와 인재 양성, 합작사 설립 등은 대외적인 요건이 힘들어져도 꾸준히 계획대로 실행해 나가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