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명절엔 춤이나 추고 전이나 사 먹자

누군가 내게 '이번 추석 때 뭐 했니?'라고 묻는다면 이번 연휴는 "'스트릿 우먼 파이터'로 시작해 '스우파'로 끝났다"고 답하겠다. 휴일 내내 엠넷의 예능프로그램 스트릿 우먼 파이터(이하 스우파)를 봤다. 한 번 보고 두 번 보고 세 번 보고도 부족해 무한 반복으로 돌려보는 중이다. 시간 낭비로 느껴져 지웠던 인스타그램 앱도 다시 깔아서 출연자들을 팔로한 뒤 매일 염탐하며 혼자 내적 친밀감을 느끼고 있다. 누군가는 이를 '스우파 과몰입 중인 상태'라고 표현했다. 뭐가 그리 감명 깊었을까. 예능 프로그램에서 각양각색의 캐릭터를 가진 여성들을 볼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기쁨이었다.

 

절대 지지 않겠다고 선전포고하는 여자, 라이벌의 멋진 행동에 마음을 빼앗긴 여자, 의상이 족쇄처럼 느껴져 갑갑했다고 말하는 여자, 100명을 놔도 나만 보이게 춤을 출 수 있다는 여자, 얼굴을 잔뜩 일그러뜨리며 스웩(Swag)을 뽐내는 여자, 비속어를 쓰기 전 제작진에게 욕해도 되냐고 매번 묻는 여자, 메인 댄서 자리를 어떻게든 뺏어 오겠다며 전의를 불태우는 여자, 무대 의상을 갈아입던 경쟁자가 위기 상황에 놓이자 댄스 배틀 중임에도 즉각 나서서 도와주는 여자 등 다양했다. 와 재밌다.

 

스우파는 우리 주변에 항상 존재해 왔지만, 티브이(TV)에선 좀처럼 보기 어려웠던 '자연인으로서의 여성'을 다룬다. 가부장제 사회가 강요하는 여성상에 반기를 든 여자들이 바로 그 주인공. 스우파처럼 반짝이는 예능 프로그램이 탄생할 수 있었던 이유는 뭘까. 사람들이 꾸준히 목소리를 냈기 때문이다. 그간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은 설과 추석 전 시민 제안을 바탕으로 만든 '성평등 명절 사전'을 발표해왔다.

 

사람들은 바깥 외(外), 친할 친(親) 자를 써 외가·친가로 구분하는 것을 어머니 본가, 아버지 본가로 풀어쓰자고 했다. 과거 상전을 부르는 호칭으로 사용되던 도련님, 아가씨 등을 가족관계에 적용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므로 이름으로 부르자고 요구했다. '각자 자신의 부모를 찾아가 인사드렸다', '명절 음식 준비 대신 부모님과 여행을 갔다', '설거지 당번을 사다리 타기로 결정했다' 등 직접 겪은 성평등한 명절 사례를 공유한 이들도 많았다.

 

이런다고 세상이 달라질까? 서울시가 지난 추석 명절 연휴 기간(2019년 9월 11~18일) 시민 810명을 대상으로 벌인 성평등 명절 체감도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43.2%가 '전보다 성평등해졌다고 느낀다'고 답했다. 시민 10명 중 6명(57.6%)은 '다음 명절엔 더 성평등해질 것이다'는 기대감을 내비쳤다.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자'는 말이 있다. 현인(賢人)들이 세상을 바꾸는 일에 쓸데없이 트집 잡지 말고, 명절엔 스우파 댄서들처럼 '춤이나 추고 전이나 사 먹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