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기술특례상장제도, 엇갈린 평가 속 활성화 정책 지속

기술특례상장 기업 상장 당시 매출액와 상장 후 2018년 말 매출액 비교./자료 한국거래소



주식시장의 기술특례상장제도를 바라보는 시선은 여전히 엇갈리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특례기업 매출액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데 이어 주목할 만한 영업 성과를 보이는 기술기업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고 자평있지만 비판도 만만찮다. 검증되지 않은 기업을 상장시켜 코스닥 시장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기술특례상장제도는 당장 영업실적에선 부족함이 있더라도 기술력과 성장성이 있다고 인정되는 기업을 전문평가기관의 기술평가나 상장주선인 추천으로 상장시키는 제도다.

◆지난해 코스닥 공모금액 24% 차지

지난 2005년 3월 도입 후 총 87사가 기술특례상장제도를 통해 코스닥시장에 입성했다. 이중 절반 수준인 43곳이 최근 2년 동안 이름을 올렸다. 2018년 21곳, 지난해 22곳이 기술특례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지난해 기술특례로 상장한 22곳의 총 공모금액은 6138억원이다. 지난해 코스닥 공모금액(2조6000억원)의 24% 수준으로 역대 최다 수치다. 최근 들어 거래소가 기술기업을 발굴하는 데 부쩍 공을 들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술특례상장으로 코스닥에 입성한 기업들의 매출은 크게 늘었다. 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가 2018년까지 기술특례로 상장한 65사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50사(77%)가 상장이전보다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매출액 100억원 이상을 기록한 기업의 비중이 상장 당시 18사(27.7%)에서 2018년 28사(43.1%)까지 늘어나는 등 매출 규모가 눈에 띄게 커졌다는 설명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19일 "지난해 기술특례제도 덕에 다양한 기술기업이 특례를 받아 자금을 조달할 수 있었다"며 "특례 제도가 혁신기업의 성장에 크게 이바지했다"고 평가했다.

◆77%가 바이오기업

기술특례상장제도는 바이오기업의 등용문 역할을 한다. 기술특례상장제도로 상장한 기업의 77%(67곳)가 바이오기업일 정도다.

바이오기업의 평균 공모 규모는 일반기업보다 훨씬 높다. 2005년 이후 기술특례상장제도로 코스닥에 입성한 87곳의 총 공모금액은 2조1000억원. 이중 바이오기업 67곳이 1조8000억원(85.7%)을 차지했다. 바이오기업의 평균 공모 규모는 271억원으로 다른 일반기업(146억원)보다 2배가량 높게 책정됐다. 연구·개발(R&D) 비용에 막대한 금액을 투자할 수밖에 없는 기업 특성 때문이다.

바이오기업은 임상개발 진행 경과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높게 나타난다. 신약 개발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가와 시가총액을 좌지우지한다는 얘기다.

기술특례기업 중 시가총액이 높은 상위 5사가 모두 바이오 업체인 것으로 확인됐다. 헬릭스미스, 제넥신, 신라젠 등이 모두 상위권에 위치했다.

기술특례상장 기업 지난해 12월26일 기준 시가총액 상위 5곳 순위. 단위 억원, %



◆"기술평가 강화해야"

일각에선 기술특례상장제도의 활성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제도를 완화해 규모를 넓히기보단 기술평가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더 정교하게 다듬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성환 리서치알음 수석연구원은 "기술특례 상장으로 코스닥 시장의 밸류에이션 자체가 비싸졌다"며 "실적이 없는 업체들이 주목받으며 국내 코스닥 시장이 지나치게 고평가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술특례상장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금융학회도 커지는 기술특례상장제도에 우려를 표했다. 지난 17일 공개한 '한국거래소·한국예탁결제원 경영실적 평가 결과 보고서'에서 "2014년 17.2%에 불과했던 특례상장 활용실적이 2018년 39.4%로 확대되는 등 기술특례상장이 코스닥 상장의 메인 트랙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며 "적자 기업도 상장이 가능하도록 재무 요건이 완화된 만큼 투자자 보호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의 상장을 도와야 하는 것은 맞지만 투자자 보호가 우선 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거래소도 이러한 비판을 의식하고 있다. 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 관계자는 "기술평가 신뢰성을 지속해서 높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