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2019 유통결산] 대형마트 '휘청'…백화점은 명품 덕에 웃었다

대형마트에서 장보고 있는 고객의 모습/연합



[2019 유통결산] 대형마트 '휘청'…백화점은 명품 덕에 웃었다

올해 대형마트업계는 이커머스의 공세에 밀려 실적 악화에 시달렸다. 업계 1위 이마트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분기 적자를 기록했으며, 일부 매장은 폐점 수순을 밟았다. 반면, 백화점은 명품 및 가전 판매 호조로 위기를 넘겼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마트의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대비 14.8% 신장한 4조 5810억원이지만, 영업적자는 299억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할인점의 2분기 총매출액은 2조 57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하는데 그쳤고, 영업손실은 43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 공휴일과 창동점 리뉴얼로 인한 공백이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롯데마트는 지난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61.5% 감소한 120억원으로 줄었다. 국내점 영업이익만 놓고보면, 90% 줄어든 20억원을 기록했다. 롯데마트는 앞서 2분기에도 339억원의 적자를 냈다.

이마트



◆점포 수 줄이고 체질개선

1~2인 가구가 이커머스와 편의점에서 소비패턴을 바꾸게 되면서 대형마트의 입지는 점점 좁아지는 모양세다. 이마트는 지난 10월 서부산점을 정리했고, 18일 광주점 문을 닫았다. 최근 3년동안 문을 닫은 매장은 총 7곳이다.

이마트 점포수가 줄어들 동안 창고형 할인마트 트레이더스 점포수는 늘어났다. 부진 점포를 정리하고 성장성이 좋은 트레이더스 출점에 주력해 체질개선하는 것이다.

대형마트업계는 이커머스에 빼앗긴 주도권을 찾기 위해 최저가 가격 경쟁, 배송 서비스 강화에 집중했다.

이마트는 '초저가 정책'과 '미래형 유통모델'로 승부수를 띄웠다.

온라인 신설법인 SSG.COM을 출범해 새벽배송 서비스에 가속도를 내고 있으며, 소비자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또한 상시적 초저가 정책 '에브리데이 국민가격'은 전체 할인점 매출을 견인하고 있다. 대량매입과 신규 해외 소싱처 발굴, 상품 매입 과정 축소를 통해 가격을 낮췄다.

홈플러스



홈플러스는 오프라인 매장을 온라인몰의 '쇼룸'으로 탈바꿈시키고 '마트직송'으로 가장 빠르고 신선하게 신선식품을 고객에게 배송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롯데마트는 기존 38개의 PB 브랜드를 10개로 압축했으며, 균일가 PB 브랜드인 '온리 프라이스'를 중심으로 개편에 나섰다.

신세계백화점 본점/신세계백화점



◆백화점, 명품·VIP가 매출 견인

오프라인 채널의 약세에도 백화점은 안정세를 보였다.

신세계백화점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2.2% 늘어난 660억 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매출액은 10.9% 감소한 3851억 원을 기록했지만 이는 인천점을 롯데에 넘긴 영향으로 인천점을 제외하면 매출은 4.6% 늘어난 셈이다. 명품과 남성 분야가 각각 33%, 10% 증가하며 성장을 주도했다.

유진투자증권은 신세계의 올 4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1조7086억원, 1574억원으로 내다봤다. 전년 동기 대비 10.9%, 17.3% 증가한 수준이다.

롯데백화점 본점/롯데쇼핑



롯데백화점의 경우 3분기 매출은 7322억원으로 1.9% 감소하는데 그쳤으며, 인천터미널점 편입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16.8% 증가한 1041억원을 기록했다. 해외 패션 상품군 중심으로 매출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백화점은 3분기 매출액이 4579억원으로 0.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1.2% 줄어든 77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에 실시한 김포, 천호, 킨텍스 등의 리뉴얼로 인한 감가상각비 증가로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채널로 소비 패턴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명품 덕분에 백화점은 선방할 수 있었다. 실제로 롯데, 신세계, 현대 등 주요 백화점업체의 명품 매출 비중은 20~30%가량이다. 40~50대 위주의 마케팅에 전력했던 백화점업계는 더 많은 세대가 명품을 즐길 수 있도록 타깃 마케팅에 돌입했다. 롯데백화점은 '2030'의 스트리트 명품이라 불리는 발렌시아가, 오프화이트, 골든구스 등 브랜드를 강화했고, 한정판 스니커즈 출시등으로 소비심리를 자극했다.

신세계백화점은 미래 주고객이 될 2030세대에게 VIP 자격을 부여하기 위해 '연간 400만원 구매'로 기준을 완화했다. 이에 신세계백화점의 젊은 VIP 고객은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