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정치일반

[초점] '6월 남북대화 가능성' 놓고 文-통일장관 엇박자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제4차 남북정상회담 시기'를 놓고 여권 중심부에서 엇박자 발언이 나왔다. 남북정상회담 주인공인 문 대통령과 남북협력을 총괄하는 통일부 수장 김연철 장관이 엇박자 발언의 주인공. 문 대통령은 "곧 재개된다"며 정계 일각에서 제기한 '6월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에 힘을 실은 반면, 김 장관은 "6월 남북정상회담은 원론적 차원의 얘기"라며 확대해석을 차단한 것. 여권 중심부에서 나온 남북정상회담 시기 엇박자 발언은 여론의 혼란을 유발한다는 지적이다.

우선 제4차 남북정상회담은 지난 4월11일 미국 워싱턴에서 진행된 한미정상회담 때 등장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조속한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언급했다. 한미정상회담에 앞서, 지난 2월 말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2차 북미정상회담 때 북미정상은 '비핵화'를 놓고 어떠한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즉 문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언급한 것은 '북미간 비핵화 담판'을 위한 중재 행보인 셈이다.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된다면 문재인 정부 들어 4번째 진행되는 회담이 된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남북정상회담은 3차례(작년 4·27-5·26-9·19) 진행된 바다.

문 대통령이 '조속한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언급하자 정계에서는 '6월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문정인 대통령직속 통일외교안보특별보좌관 겸 연세대학교 명예교수는 11일 국회에서 열린 '6·15 남북정상회담 19년 특별좌담' 때 "북한이 결단을 내릴 때"라며 "만약 6월 기회를 놓치면 (한반도) 상황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했다. 그뿐인가. 범여권 성향인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 역시 지난 4월 16일 MBC라디오 '심인보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물밑접촉 및 특사교환 등을 통해 최소 6월까지는 남북정상회담이 열릴 것"이라고 했다.

다만 여권 중심부에서 '6월 남북정상회담 가능성' 관련 여론의 혼란을 유발하는 발언이 나왔다. 통일부 수장 김 장관은 지난 9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여권 안팎에서도 '6월 남북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은) 매우 원론적인 차원에서 얘기했을 것"이라며 "지금 상황에서는 낙관도 비관도 하기 어려운 국면"이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 역시 지난 10일 춘추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6월 남북정상회담이 이달 말에 열릴 것이라고 보긴 어려울 것 같다"고 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헬싱키 대통령궁에서 한-핀란드 정상회담 후 진행된 기자회견 때 "대화의 모멘텀이 유지되고 있고, '남북간-북미간 대화의 계속'을 위한 대화가 이뤄지기 때문에 조만간 남북간-북미간 대화가 재개될 수 있으리라 믿는다"고 했다. 문 대통령의 이러한 발언은 김 장관과 청와대 고위관계자의 발언과 궤를 달리 한다.

그래선지 야권에서는 우려의 시선을 보냈다. 윤용호 자유한국당 부대변인은 11일 메트로신문과의 통화에서 "문재인 정부의 가장 큰 긍정적인 성과는 남북관계 개선"이라며 "다만 남북정상회담 시기를 놓고 대통령과 통일부 장관, 청와대 고위관계자의 발언이 다 다르다면 국민들은 어떤 이의 발언을 믿어야 하는 것인가"라고 꼬집었다. 이어 "정상회담 진행 과정 등은 중요한 내용이기 때문에 여권에서도 관련된 내용을 언론에 전할 때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며 "하지만 이러한 엇박자 발언 현상이 추후에도 지속된다면 국민들의 불만은 표출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