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100세 시대 건강 패러다임 바뀐다] <5> 중국 유전자은행 가다

#. 중국 남부 하이난성 출신인 샤오(29세·여)씨. 결혼적령기에 접어든 그가 남자를 만날 때 가장 먼저 보는 것은 외모도 직업도 아니다. 유전자 검사결과가 가장 최우선 순위다. 중국 남부 지방은 악성빈혈의 발생빈도가 유난히 높다. 샤오씨는 악성빈혈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만 빈혈 증세는 별로 느끼지 못한다. 문제는 향후 낳게 될 2세다. 만약 샤오씨가 악성빈혈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남자를 만난다면 2세는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극심한 악성빈혈을 가지고 태어나게 된다. 중국 정부는 남부 지역 사람들에게는 빈혈 유전사 검사를 권유하고 있으며, 원하는 사람은 근처 보건소나 의료기관에서 언제든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중국에서는 이미 유전자검사를 활용한 질병예방이 일상화됐다.

중국 선전시 외곽에 위치한 중국 유전자은행(CNGB) 전경.



[선전(중국)=특별취재팀]중국 선전시 염전구에 위치한 세계 최대 유전자 분석 기업인 BGI(베이징 게놈연구소)에 들어서면 중국 전체 지도가 펼쳐지고 각 지역이나 성마다 빈도가 높은 질병이나 유전자 질환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방대한 유전자 정보와 분석기술이 결합한 결과다.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자궁경부암의 중요한 원인 인자로 알려진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와 다운증후군 유전자의 지역별 연령별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인들의 방대한 유전자 정보를 모두 집적한 곳이 BGI가 정부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는 중국 유전자은행(CNGB)이다. 유전자은행으로는 미국과 유럽,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설립됐지만 규모 면에서 이미 세계 최대다.

유전자 자원의 보호와 연구·활용을 목표로 샘플을 보관하는 수십 개의 냉장고와 대규모 유전자 정보처리 전산장비를 갖추고 있다. 현재 1000만 개의 샘플이 보관돼 있으며, 저장용량을 더 늘리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유전자은행은 단순히 유전자를 저장·관리하는 개념을 넘어선다. 한국의 경우 태아의 제대혈 줄기세포만을 보관할 수 있지만 이 유전자은행은 제대혈을 물론, 자가지방, 연골, 혈관 줄기세포, 면역세포 등 다양한 세포를 보관할 수 있다. 질병에 걸리면 이를 활용해 개인 맞춤형 치료제를 만들어 효과를 높인다.

염행초 BGI 디렉터는 "유전자검사 결과는 현재 앓고 있는 질병의 모니터링은 물론 치료와 관리, 조기진단에 앞서 집적된 정보를 활용한 질병의 사전예방과 치료법 개발까지 가능토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00세 시대를 앞두고 의료의 중심이 사후 치료에서 어떤 병이 걸릴지를 미리 예측하는 사전예방으로 이동하고 있다. 샤오씨 역시 사전예방 의료의 혜택을 이미 받은 셈이다. 아무리 의학기술이 발달했다고 해도 극심한 악성빈혈인 아이를 치료하는 것과 악성빈혈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한 것은 삶의 질적 측면에서 보면 하늘과 땅 차이다.

중국 유전자은행(CNGB)의 2층 연구실을 가득 채운 게놈(유전자 서열) 분석 장치.



국가마다 개인의 방대한 유전 정보를 확보하는데 사활을 거는 것도 그래서다. 방대한 유전자정보와 분석기술은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을 실현할 수 있는 핵심 요인이다. 중국 유전자 은행은 인간은 물론 각종 동식물 유전자도 분석해 저장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아시아인 표준 게놈(유전자 서열) 분석을 할 정도의 뛰어난 분석 기술을 갖췄지만 생명윤리법, 개인 정보 보호법 등의 규제에 막혀 유전자 정보 데이터 활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2016년 의료를 포함한 개인 정보를 연구 목적으로 쓸 수 있도록 한 '개인 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지만 비정형 데이터 활용에 대한 부분이 결여돼 현장에선 제대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

/특별취재팀

[!--{BOX}--]“이 기사는 「국민건강 증진 공공 캠페인」 (한국인터넷신문협회-한국의학연구소 주최)에 선정된 기획보도입니다.”[!--{//BOX}--]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