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아노말리 증후군] "맘충이라고? 애 안 낳아!"··· 비혼·비출산 결심하는 여성들

워킹맘 10명 중 3명이 독박육아를 하고 있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이미지는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유토이미지



#. 30대 미혼 직장인 여성 A씨는 '미미쿠키 맘충 논란'을 계기로 비혼과 비출산을 다짐하게 됐다. 가짜 유기농 제품을 속여 판 미미쿠키 사건을 두고 멍청한 맘충 탓이라고 비난하는 여론을 접했기 때문이다. A씨는 "아이에게 아토피가 있어 미미쿠키를 산 피해자가 있다고 들었다. 그런 엄마들에게 '맘충들 유기농 먹인다고 허세 떨더니 꼴좋다'는 식의 반응을 본 후 결혼 생각이 싹 사라졌다"고 했다.

여성 양육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이 도를 넘어서자 비혼과 비출산을 결심하는 여성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육 환경 개선과 더불어 육아 여성을 대하는 우리 사회의 비뚤어진 시선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 맘충이 불러온 출산율 저하

맘충(예의 없는 엄마를 빗댄 신조어)은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를 중심으로 확산해 지난 2015년 7월경부터 언론에 오르내리기 시작했다. 국내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보이는 평균 출생아 수)은 맘충 표현이 등장한 2015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엄마들을 벌레에 빗댄 혐오 표현 '맘충'의 등장은 출산율 감소로 이어졌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1.24명이었던 합계출산율은 2016년에는 1.17명으로 감소했고, 2017년에는 1.05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태어난 아이 수 역시 35만7800명으로 역대 최소였다.

2016년 기준 OECD 회원국의 평균 합계출산율은 1.68명이다. 벨기에, 네덜란드, 핀란드 등이 평균 그룹에 속하며, 한국은 1.17명으로 최하위 그룹에 해당한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우리나라 출산율은 OECD 국가 중에서 부동의 최하위"라며 "2015년 1.24명에서 더 낮아져 하위권 나라들 중에서 1.2명 이하로 떨어진 나라는 우리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출산율이 낮다는 정도가 아니라 OECD 국가 중 1.2명 이하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덧붙였다.

평균 합계출산율을 기록한 벨기에의 경우 맘충이나 김치녀 같은 여성 혐오 발언을 할 경우 징역 1년 혹은 1천 유로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 독박 육아는 NO!

여성 혼자서 육아를 책임지는 '독박 육아' 환경에 대한 개선의 목소리도 높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지난해 1월 발표한 '기혼여성의 재량시간 활용과 시간 관리 실태연구' 보고서에 의하면, 맞벌이 부부 중 아내가 가사노동에 사용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3시간 27분으로 남편 58분에 비해 3.6배 많았다. 돌봄 시간 역시 엄마가 71분으로 아빠(23분)보다 3배 이상 많았다.

워킹맘 10명 중 3명이 '독박육아'를 하고 있다는 설문 조사 결과도 있다. 취업 포털사이트 잡코리아가 자녀가 있는 맞벌이 남녀 직장인 5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맞벌이 직장인의 가사와 육아 부담' 조사에서 '독박육아를 하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여성의 34.5%가 '그렇다'고 답했다. 여성 응답자들은 남편의 육아 참여율은 33.2%라고 답했다.

정형옥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일하는 여성이 늘어나는데도 집안일과 양육의 일차적 책임을 여성한테만 돌릴 경우 여성들은 차라리 결혼을 하지 않거나 아이를 낳지 않는 것을 '합리적 선택'으로 여길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그는 이어 "저출산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는 성평등한 사회를 만드는데 정책의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성평등에 기반한 육아 휴가제를 도입한 스웨덴의 합계출산율은 2.0명으로 우리나라의 2배 수준이다. 스웨덴은 1974년 최초로 부모 휴가제를 도입해 어린 자녀를 둔 부부에게 총 480일의 육아휴직 기간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기간 동안 부부는 각각 최소 90일의 휴가를 사용해야 하며, 스웨덴 정부는 급여의 80%를 390일 동안 지원한다.

신윤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EU 국가의 육아 지원 인프라와 출산율 현황'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육아 지원 정책은 심각한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일과 가정의 양립 그리고 사회 통합의 추구라는 정책적 지향성을 가지고 추진되어야 한다"며 "육아 지원 인프라 향상과 더불어 육아 휴직 제도의 활성화 정책이 조화롭게 추진되어야 한다"고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