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물류/항공

[메트로가 만난 기업人]표면처리 30년 외길, 항공기 부품 가공 코텍 최주원 대표

"항공산업 육성정책 절실, 노동집약적 산업에 높은 인건비가 경쟁력 저하시켜 애로"

코텍 최주원 대표가 경남 사천에 있는 공장에서 표면처리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김승호 기자



【사천(경남)=김승호 기자】 "글로벌 항공기 시장은 520조원(2014년)에서 720조원(2023년)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는 민수, 방산 등을 다 합쳐도 현재 고작 5조원 수준 밖에 되질 않는다. 항공산업은 임가공이 대부분이고 자동화가 불가능해 인건비가 절대적이지만 임금이 비싼 우린 경쟁력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다. 항공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국가 정책도 의문스럽다."

경남 사천에 있는 항공기 부품 표면처리회사인 코텍 최주원 대표(사진)가 안타까운 마음을 어쩌지 못해 기자에게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설명하면서 전한 말이다.

1989년 설립해 30년간 표면처리 외길을 걸어온 코텍은 현재 사천과 경남 창원에 총 3개의 공장을 운영하며 방산, 우주항공, 자동차, IT 관련 부품의 표면처리를 담당하고 있다.

항공기 부품을 주로 가공하는 사천공장은 보잉과 에어버스 등의 일부 모델 날개에 들어가는 제품을 도금, 특수도금 등의 기술을 적용, 표면처리해 조립회사로 넘기는 작업을 하고 있다. 항공기 날개와 그에 들어가는 각종 부품을 다루는 공장이라 규모가 어마어마했고 누가봐도 비행기 날개인지를 쉽게 알 수 있었다.

최 대표는 "코텍이 1개월에 처리하는 부품 갯수만 약 4만2000개"라면서 "이 정도가 항공기 날개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으니 항공기 전체적으론 몇개의 제품이 들어가는지는 상상하기 쉽지 않을 것(웃음)"이라고 귀뜸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453억원의 매출을 올린 한국의 중소기업이 글로벌 기업의 항공기 완제품 제조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으니 신기할 따름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항공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의 현실은 녹록치 않다. 민항기, 군용기, 그리고 항공 부품 등을 포함한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글로벌 기업들이 벌이고 있는 '단가 싸움'에서 살아남기가 쉽지 않아서다.

최 대표는 "에어버스나 보잉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항공기의 50% 가량을 소비하는 중국이 본격적으로 제조에 들어갈 준비에 착수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벌써부터 에어버스나 보잉은 (중국과 경쟁하기 위해)신형 비행기에 대해 제조원가를 40% 가량 낮추려하고 있고 이는 우리같은 회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텍 최주원 대표가 공정을 가리키며 이야기를 하고 있다./사진=김승호 기자



이처럼 항공기 제조 메이저 업체들은 단가 인하를 위해 인건비가 싼 개발도상국에 물량을 발주하거나 아예 합작법인을 설립, 현지화에 나서고 있다. 멕시코, 중국, 인도, 베트남, 브라질 등에서 이런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다. 또 기술력에 강점을 갖고 있는 나라별로 전문화를 꾀하고 있는 것도 최근의 트렌드다. 비행기 동체를 가볍게 만드는 특수플라스틱이나 배터리 기술력이 뛰어난 일본이 대표적이다.

최 대표는 "세계 항공기 시장의 물량은 이렇게 흘러가고 있는데 우리에겐 배정이 되지 않기 때문에 낙수효과가 전혀 없다"면서 "특히 한국은 보잉이나 에어버스가 설계하면 이것을 받아 가공만하는 등 '기술'은 없고 '가공'만하는 것이 안타까울 따름"이라고 덧붙였다.

상당수의 나라들이 목매고 있는 항공산업이라고 하지만 우리는 시장이 일천하고 기업들도 작은데다 기술력을 위한 연구개발(R&D)도 쉽지 않고 정부 정책은 비전이 없어 한마디로 '총체적 난국'이라는 말이다.

그는 이런 현실이 하도 답답해 정부 관계자에게 항공산업단지 활용도 제고, 투자자금 장기저리 대출 등의 건의를 했더니 "산업간 형평성 때문에 항공산업만 지원을 하기 힘들다"는 답변만 돌아왔다는 에피소드도 전해줬다.

이같은 척박한 환경에서도 최 대표는 국내를 넘어 세계 시장을 노크하고 있다.

"국내 항공산업은 이제 해외에서 먹거리를 찾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면서 "글로벌 시장은 우리 직원들이 행복하게 먹고 살기 위한 수단이다. 국가 정책은 희망이 없으니 우리라도 해외에서 살아 남아야한다는 절박한 심정 뿐"이라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