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스포츠>스포츠종합

평창 숙박업소 '착한 가격' 동참 가속화…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동계패럴림픽 개막이 두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배짱 요금'으로 논란을 불렀던 평창·강릉지역 숙박 업소들이 '착한 요금'에 동참하고 있다.

1박에 수십 만원에 달하던 평창·강릉지역 일반 호텔·모텔 등 숙박 요금이 이달 초부터 15만원 안팎으로 낮아졌다. 속초·동해시 등 주변 도시 역시 대다수 업소들도 요금을 10만원 선으로 낮췄다.

'폭리' 논란을 불렀던 해당 지역 숙박 업소들이 일제히 요금을 낮춘 데에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평창조직위의 간접 규제, '바가지 요금'에 대한 부정적 여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먼저 국토교통부는 서울~강릉을 연결하는 KTX 경강선의 증차 계획을 수립해 '올림픽 당일치기 관람'이 더욱 활발히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오는 22일 개통되는 경강선을 이용하면 서울역에서 평창올림픽 경기장까지 가는데 채 2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국토부는 대회가 열리는 내년 2월 1일부터 28일까지 경강선 운행을 매일 편도 51회로 늘린다. 평소의 2배 가까운 횟수다.

'바가지 요금'으로 여론의 뭇매를 받던 상황에 당일치기 관람까지 쉬워지면서 숙박 업소들은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 7일 기준 평창, 강릉지역 숙박업소 평균 예약률은 30%에도 미치지 못했던 터라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지자체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자율요금제인 숙박 요금을 법적·제도적으로 강제하기엔 한계가 있어, 간접 제재로 방향을 우회했다.

강원도, 강릉시, 평창군은 바가지요금 논란과 관련한 특별 대책팀을 마련해 과도한 요금을 요구하는 숙박업소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다. 건축, 소방, 위생 분야 등을 집중 점검하고 세무조사를 의뢰하는 등 강력한 제재를 통해 업소의 자율적인 요금 인하를 유도한다는 복안이다.



정부와 지자체의 이 같은 움직임에 '공실 사태'를 우려한 숙박 업소들도 요금 안정화에 동참하고 있다. 실시간으로 숙박여건과 요금 정보를 제공하는 '강릉 숙박시설 공실정보 안내 시스템'에는 현재 강릉지역 전체 숙박업소 1022개 중 713개 업소가 참여하고 있고, 평창 및 배후지역도 일제히 요금을 내리는 추세다.

이 같은 흐름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올림픽 경기 관람객의 60%가 개최지와 배후도시에서 숙박한다고 가정했을 때 하루 필요한 객실(2인 1실 기준)은 3만실이다. 조직위와 강원도에서 확보한 객실은 2배가 넘는 7만3000여실에 달하기 때문에 패럴림픽이 폐막하는 3월까지 '바가지 요금'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