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임영권 박사 칼럼] 발열(發熱)과 해열(解熱)

임영권 한의학 박사(아이조아한의원 수원점 대표원장)





12월에 들어서자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고 낮에도 맹추위가 기승을 부린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여기저기서 재채기와 콧물 훌쩍이는 소리가 잦아졌고, 심한 감기에라도 걸렸는지 쉰 목소리와 가래 끓는 소리도 들린다. 올해는 예년보다 인플루엔자 유행 주의보도 일찍 발령되었다. 이렇게 감기와 유행성 인플루엔자 독감이 유행하게 되면, 어린아이를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는 아이한테 찾아온 발열, 기침, 콧물 등의 증상이 감기인지, 비염인지, 독감인지 헷갈릴 수밖에 없다. 증상이 나타났을 때 초기 대응을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해지기 마련인데, 특히 '발열(發熱)' 증상에 해열제를 먹여야 할지, 저절로 떨어지게 간호하면 될지 갈팡질팡 하게 된다.

우선 질병으로 인해 체온이 상승하는 '발열'의 기준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아이들은 어른보다 기초 체온이 높은데다, 체온조절중추가 미숙해 환경 변화에 민감하다. 추위에 쉽게 체온이 떨어지고, 더위에 쉽게 체온이 올라간다. 외부 온도차나 일교차에 주의해야 하는 이유다. 만 5세 이하의 소아는 36.5℃가 아닌 37℃(만 2세 이하는 37.2℃)는 정상 체온으로 보는데, 정상 체온을 훨씬 웃도는 37.8℃ 정도면 미열이라고 할 수 있다. 38℃ 미만은 미열 그리고 38℃ 이상 되어야 발열이라고 본다. 만약 아이 체온이 38℃ 이상이라면 심하지는 않지만 '열이 나는 상황'이며 이 때는 다른 부대 증상을 함께 살펴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자, 아이 이마가 따끈따끈해 체온을 쟀더니 37.9℃다. 미열이 고열로 이어질까 두려워진 엄마는 우선 종합감기약이나 해열제부터 찾는다. 갈등은 이런 상황에서 비롯된다. 과연 약부터 먹여야 하는 것일까?

아이들은 계절이 바뀌거나 실내 온습도가 너무 높은 경우, 집 안에서 옷을 두껍게 입고 있는 경우 등에도 열이 오를 수 있다. 그리고 발열은 단지 감기나 독감일 때만 찾아오는 증상은 아니다. 정상적인 반응 외에 중이염, 장염을 비롯해 다양한 감염성 질환에서도 나타나는 흔한 증상이다. 종합감기약이나 해열제부터 먹여 열을 떨어뜨린 후 진료를 받으면 증상 파악이 애매해져 정확한 진단이 어려울 수도 있다.

발열은 질병의 증상이기도 하지만 우리 몸의 방어기제이기도 하다. '열(熱)'은 우리 몸 안에 병원균이 침입했고 우리 면역체계가 병원균에 맞서 잘 싸우고 있다는 신호다. 흔히 감기에 걸렸을 때 나타나는 발열, 콧물, 기침 등의 방어기제는 스스로 병을 이겨내는 과정인데, 급한 마음에 해열제를 바로 쓰거나 불필요하게 반복적으로 쓰게 되면 오히려 질병과 싸워 이겨내는 경험을 빼앗는 것이다. 기침 또한 인두나 후두, 기관지에 불필요한 이물질, 이물감이 있을 때 배출해내는 방어기제이며, 콧물은 평소에도 흐르지만, 코 점막이나 비강이 메르거나 이물감이 있을 때 씻어내기 위한 방어기제다.

아이에게 '발열'이 있을 때에는 일단 집 안 난방 온도를 조금 낮추고, 미지근한 물을 자주 섭취하며 휴식을 하게 한다. 그리고 발열 외에 어떤 부대 증상(콧물, 기침, 인후통, 복통, 호흡곤란, 귀 진물 등)이 있는지 살핀다. 만약 반나절 후에도 아이의 체온이 내려가지 않고, 아이가 힘들어하며, 부대 증상들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소아청소년 한의원이나 의원으로 가 진료를 받는다. 참고로 발열을 동반하는 잦은 소아질환으로는 장염, 편도선염, 중이염 등이 있다. 열이 나면서 구토, 설사 등을 동반하고 복통을 호소하면 장염일 수 있다. 음식을 삼킬 때 목이 아프고 점점 부어오르면서 고열이 나면 편도선염일 수 있다. 열이 나면서 손, 발, 입 안에 발진이 있고 아이가 음식물 삼키기를 힘들어하면 수족구를 의심한다. 어린 아이가 감기를 앓다가 귀에서 열이 나고, 분유나 젖을 빨다가 보채며 안 먹을 때는 감기 합병증으로 중이염이 생긴 것일 수 있다.

그렇다면 해열제는 언제 먹여야 할까? 꼭 먹여야 할까? 한방(韓方)에서는 인공 제조된 약품으로 뇌의 중추를 자극해 강제적으로 해열(解熱)하기보다는, 땀을 내게 해 자연적으로 열을 떨어뜨리는 방식을 쓰고 있다. 내 몸의 자연 치유력, 면역력을 위해서라도 심한 고열이 아니면 해열제를 쓰지 않는 것이 좋다고 권한다. 양방 소아과학 교과서에도 해열제의 복용 기준은 40.5℃ 이상의 고열이다. 41℃ 이상의 고열은 자칫 뇌 손상의 우려 때문에 해열제를 반드시 투여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세균성 감염이 아니면서 40℃ 미만의 발열이라면 해열제, 항생제 대신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 한방 과립제나 시럽 등의 한방 치료로도 충분히 이겨낼 수 있다. 물론 40℃ 미만일 때도 해열제가 필요한 순간은 있다. 예전에 열성 경련이 있었던 아이가 38.5℃ 이상일 때, 두통, 오한, 혈변, 구토 등 심각한 부대 증상이 있을 때, 아이가 밤새 잠을 못 이루고 매우 힘들어할 때의 상황이라면 40℃의 고열이 아니더라도 해열제 복용을 고려한다.

일반적인 발열, 즉 38.5℃ 미만의 발열일 때 부모의 돌보기 요령은 다음과 같다. 실내 온도는 18~20℃로 낮추고 습도는 50~60%로 맞춰 기관지를 촉촉하게 해준다. 자연스러운 해열을 위해 땀과 소변이 잘 배출되도록 돕는다. 특히 열이 나면 우리 몸의 수분도 마르기 때문에 따뜻한 보리차를 수시로 마시게 한다. 단, 땀을 내기 위해 뜨거운 물로 탕 목욕을 하면 목욕을 하고 난 후 오히려 몸의 수분을 빼앗기면서 한기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활동이 편한 가벼운 면 소재 옷을 입히고 땀에 젖으면 바로 갈아입힌다. 음식은 소화가 잘 되는 따끈한 죽, 미음 위주로 먹인다. 이 상황에서 체온이 38.5℃ 이상 오르면 미지근한 물로 마사지하거나 한방 해열제를 복용한다. 만약 40℃ 가까운 고열이 2일 이상 지속되면 다시 한 번 더 진료를 받는다. 약 복용 시 횟수, 용량, 복용법을 지키는 것은 필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