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버스정류장 반경 2㎞이내서 20년이상 살면 폐암 위험 최고 2배

버스정류장 반경 2㎞이내서 20년이상 살면 폐암 위험 최고 2배

자동차 배기가스 등의 대기오염물질이 많이 나오는 버스정류장 반경 2㎞이내에 사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폐암에 걸릴 위험이 최대 2배까지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인하대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아산병원 공동 연구팀은 조직검사에서 폐암 확진 판정을 받은 908명과 같은 수의 건강한 대조군을 대상으로 20년 동안의 주거장소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노출 정도와 폐암 발생의 관련성을 일대일 면접 조사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 폐암 환자를 나이, 성별, 흡연 경험, 직장에서의 발암물질 노출 여부 등을 기준으로 나눠 대조군과 폐암 발생률을 비교했다.

대기오염물질의 경우 각 환자의 20년치(1995∼2014년) 주소 이력에 지역별, 연도별 미세먼지(PM10)와 이산화질소(NO2) 농도를 역추적해 대입하는 방식으로 노출량을 추정했다.

그 결과 미세먼지(PM10)가 1㎥당 10㎍씩 증가할 때마다 폐암 발생률은 1.09배 상승했다. 또 자동차 배기가스 성분인 이산화질소(NO2)는 10ppb가 증가할수록 폐암 발생률을 1.10배 높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기오염과 폐암 발생률 사이의 이런 연관성은 흡연 경험이 없는 비흡연자, 과일 섭취가 적은 사람, 교육수준이 높은 사람 그룹에서 더욱 컸다. 폐암의 종류별로는 간과 뇌 등에 전이가 잘되는 선암보다 편평세포암, 소세포암이 대기오염과 더 관련 있었다.

특히 버스·택시 정류장에서 반경 2㎞ 이내에 거주하는 사람의 폐암 위험도는 그렇지 않은 사람의 2.01배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또 공업단지, 소각로에서 반경 2㎞ 이내에 거주하는 사람의 폐암 위험도도 각각 1.18배 높았다. 같은 조건에서 송전탑은 폐암 위험도를 1.13배 높이는 요인이었다.

그동안 대기오염물질은 미세먼지(PM10)와 이산화질소(NO2)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실제 폐암과의 연관성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국내 대규모의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20년치 주거지 이력에 따른 대기오염 노출을 평가함으로써 폐암 발생과의 조직학적인 연관성을 밝힌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주거지와 위험시설의 거리, 식생활습관 등은 환자들의 주관적인 답변에 기초함으로써 실제 폐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연구책임자인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김환철 교수는 "대기오염물질에 노출되더라도 하루 한 번 이상으로 과일을 많이 먹는 사람은 한 달에 1~3번 정도로 적게 섭취하는 사람보다 폐암이 걸릴 위험이 낮았다"면서 "과일 섭취는 대기오염의 산화스트레스 영향에 대한 보호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연세의학저널(yonsei medical journal) 11월호에 발표됐다.

한편 폐암은 국내 암 발생의 10%를 차지한다. 또 전체 암 사망자 중 22%는 폐암이 사망 원인으로, 국내 모든 암을 통틀어 부동의 사망률 1위다.

폐암의 원인으로 가장 잘 알려진 게 흡연이다. 폐암의 80% 이상이 흡연과 관련돼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나머지는 석면, 라돈, 방사선치료, 대기오염물질 등이 원인으로 거론된다.

폐는 감각신경이 없어 결핵이나 감염 등으로 많이 손상돼도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폐암 초기도 마찬가지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침이나 가래 등의 증상이 있더라도 감기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아 조기 발견이 쉽지 않다.

따라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치료는 무증상인 상태에서 시작해야 결과가 좋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