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혁신창업, 허와 실](上) 취업 대신 창업 택한 청년들

#. 미국 뉴욕시에서 회계사로 일해온 이모 씨(29·여)는 최근 현지생활을 정리하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회계사 일에 염증을 느끼며 '번아웃(burn-out·무기력증)' 증세를 호소해온 이 씨는 한국에서 자신의 일을 하겠다는 일념 하에 창업자모임에 나가 같은 생각을 가진 청년들과 의견을 교류하며 창업을 꿈꾸고 있다. 이 씨는 "더 이상 회사의 부속품으로 일하며 스스로를 소모시키는 생활을 하고 싶지 않다"며 "나의 능력과 아이디어를 무기로 '창업 불모지'인 한국에서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년 실업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한국 취업시장에서 취업 대신 창업을 꿈꾸는 청년들이 늘고 있다. 당장 문재인 정부가 핵심 정책 과제로 혁신성장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2일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방안을 그 첫 번째 결과물로 내놓은 바 최근의 청년 창업 기조와 맞물려 해당 정책이 한국에서 창업을 꿈꾸는 이들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진다.

6일 한국중소기업학회가 발표한 '청년이 바라보는 중소벤처기업' 설문에 따르면 취업 준비생들은 급여가 낮고 근무환경이 열악한 중소기업에 입사하느니 차라리 창업을 선택하겠다고 대답했다.

지난 10월 23일부터 26일까지 연세대 등 전국 14개 대학 취업 준비생 466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에서 취준생들이 가장 취업하고 싶은 직장은 공공기관(공기업)으로 전체 28.3%를 차지했다. 이어 대기업 20%, 전문직 19.5% 순이었다. 다만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은 각각 2.1%, 2.4%를 기록하며 자영업 및 창업 5.4%보다 낮은 순위를 나타냈다.

이정희 중소기업학회장은 "최근 청년들이 취업 대신 창업을 꿈꾸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국내 취업시장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근무환경 등이 열악한 이유도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3년간 10조원 지원…엔젤투자 소득공제 확대

지난 2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문재인 정부 혁신성장의 첫 번째 일자리 대책으로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방안을 발표했다. 기업이나 대학, 정부 연구소 등 우수한 인력이 마음 놓고 창업에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취지다.

이번 방안에는 무엇보다 향후 3년간 10조원 규모의 혁신모험펀드를 조성해 기술혁신형 창업기업을 육성하겠다는 내용이 담겨 자금 부족을 호소하는 창업인들에게 환영받고 있다. 20조원 규모인 기존 대출 프로그램과 연계할 경우 전체 창업지원 규모는 30조원에 달하게 된다. 창업벤처기업의 스톡옵션 비과세 특례도 11년 만에 부활하는 등 엔젤투자 소득공제를 대폭 확대한 것도 눈길을 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정부가 이를 잘만 운용하면 신생 벤처가 국내 창업시장에서 커 나가는데 새로운 마중물이 되기에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존 창업자에 대한 배려도 크게 늘었다. 창업 후 3~5년차에 사업 실패율이 급증하는 이른바 '데스밸리(Death Valley·죽음의 계곡)'를 무사히 건널 수 있도록 했다. 대기업 분사 창업에 실패할 경우 재입사가 가능한 창업 휴직제도 등 '패자부활' 기회도 확대했다.

당국 관계자는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지고도 자금부족과 투자난으로 뜻을 펼치지 못하는 신생 벤처들에 꼭 필요한 방안이 담겼다"며 "창업을 꿈꾸는 이들에겐 '희망의 동아줄'이 되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전했다.



◆ "쉽지 않은 창업 시장, 규제 완화로 풀어야"

국내 창업 생태계는 미국 등 창업 선진국과 비교할 때 중소기업 못지 않게 열악한 수준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는 창업이 쉽지도 않을 뿐더러 한 번 실패하면 다시 일어서기 힘든 환경"이라며 국내 창업환경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실제 서울의 창업 생태계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면 24억 달러 수준으로 평가된다. 반면 구글 등 글로벌 기업의 시발점으로 유명한 미국의 실리콘 밸리는 2640만 달러로 우리나라와는 무려 100배 정도 차이가 난다. 떠오르는 창업 도시인 중국의 베이징만 해도 1310만 달러나 된다.

시장 전문가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우버, 에어비앤비 등이 만약 우리나라에서 창업을 시도했자면 아마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란 소리가 나올 정도로 한국은 창업의 불모지로 꼽힌다"며 "창업 생태계의 근육은 좀처럼 쉽게 키워지지 않는 법인데 정부가 벤처창업 활성화에 지원을 강화하기로 하면서 4차 산업혁명과 맞물려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그는 "벤처를 활성화하는데는 100가지 지원방안보다 한 줄의 규제 완화가 더 효과적"이라며 "규제 방식을 포지티브에서 네거티브로 바꾸는 게 국내 창업 활성화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