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유통업체 신 시장을 개척하라]'사드보복과 규제' 이중고에 시달린다

[유통업체 신 시장을 개척하라]

상:'사드보복과 규제' 이중고에 시달린다.

유통업계가 중국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과 유통 규제 강화 등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정치권은 갈수록 강도가 세지는 유통 규제 정책을 쏟아내고 있고, 그동안 내수 경기 침체로 활로 모색차 진출했던 중국 시장에선 사드라는 복병을 만나면서 사업을 지속하기가 어려워 사업을 철수를 준비하는 기업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베이징 지역의 롯데마트./AP-뉴시스



◆무너진 차이나드림

롯데마트는 중국 사업을 접기로 하고 골드만삭스를 매각 주관사로 선정해 현지 점포의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롯데는 지난 1994년 중국에 진출하면서 약 10조원을 투자하면서 중국 사업에 공을 들였다. 이에 중국에 진출한 롯데 계열사는 유통·식품·관광·서비스·화학 등 22개에 달했다.

롯데는 경북 성주 골프장을 사드 부지로 제공한 것을 두고 롯데마트가 중국 당국으로부터 대규모 영업중지 조치를 당했다. 이 때문에 롯데마트는 올해 상반기에만 962억6500만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롯데는 중국 사업을 살리기 위해 운영자금 7000억원을 긴급 수혈했지만 역부족이었다.

1997년 중국에 진출한 이마트는 중국 사업 철수를 결정했다. 한때 현지 점포가 26개에 달했지만 적자가 이어지면서 2000년대 초반부터 구조조정을 통해 매장을 정리해왔다. 현재 남은 6개 매장도 연내에 모두 매각할 예정이다. 최근 상하이(上海)에 남아있는 매장 5곳을 태국 CP그룹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상하이 매장 5곳 외에도 시산(西山)에 남은 1개 매장도 연내에 정리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마트는 지난해 중국사업 적자가 216억원에 달하는 등 최근 4년간 중국에서만 1500억원대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식품업체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오리온의 올해 상반기 중국 법인 매출액은 376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6504억원)보다 42%가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64% 줄었다. 오리온은 최근 중국 법인 소속 계약직 판촉사원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현재 오리온의 중국 법인 인력은 1만3000명으로 이중 20%인 2600명이 구조조정 대상이다.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으로 주요 판매처 매대에 제품을 공급할 수 없게 되면서 공장 일부 생산 라인 가동을 중단하면서 생산량을 줄였다. 농심도 중국 법인이 타격을 입었다. 올해 상반기 중국사업에서 영업손실 2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영업이익 54억5308만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1276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1485억원)보다 14.1% 감소했다. 롯데제과는 올해 상반기 모든 해외 법인에서 전년보다 매출이 증가했지만 중국 법인의 매출은 사드 여파 등으로 인해 379억에서 194억원으로 감소했다.

스타필드 하남/신세계그룹



◆유통 규제로 전전긍긍

백화점 업계가 위기다. 사양산업이 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백화점 업계의 올해 1월 소매판매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5% 감소했다. 2월과 3월에도 각각 5.6%, 3.5% 하락했다. 4월과 5월에도 각각 -2.2%, -4.6%로 마이너스 성장세를 벗어나지 못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1월부터 8월까지 작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 신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달이 여섯 달이나 됐다. 1월과 3월을 제외하고 모두 마이너스 신장세를 보였다. 이같은 매출부진은 지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20년 만이다.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 등을 운영하는 롯데쇼핑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49% 줄어든 873억원이었다.

현대백화점도 1월부터 8월까지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달이 석 달(1월·3월·6월)이었다. 나머지 다섯 달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현대백화점의 2분기 영업익 역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 감소한 691억원이었다.

하지만 정부 및 정치권에서는 유통업체 규제를 공약으로 백화점과 대형마트를 코너로 몰아세우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8월 '유통분야 불공정거래 근절대책'을 발표하면서 대형마트에 이어 복합쇼핑몰, 아웃렛까지 규제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대형마트의 월 2회 의무휴업 규제가 복합쇼핑몰과 아웃렛 매장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 대형마트 의무휴업 규제를 월 4회로 늘리는 안까지 추진하는 등 규제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정부가 유통 규제를 강화하는 이유로 대형마트, 복합쇼핑몰, 아웃렛 등이 새롭게 생기면서 전통시장, 소상공인 등 골목상권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최근 의무휴업을 통한 전통시장의 매출 향상 효과가 미미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조춘한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가 2010년부터 지난 6월까지 경기, 대전 등 6개 상권의 대형마트와 인근 전통시장의 카드 사용액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재래시장 매출 증가율은 미미했다.

유통업체 관계자는 "복합쇼핑몰 등을 강제로 문 닫게 해도 재래시장을 찾는 사람들이 얼마나 되겠는가"라며 "소비자들은 간편하고 편리하며 다양한 편의시설을 원하는 데 재래시장이 이러한 소비자의 니즈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점점 멀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설도원 한국체인스토어협회 부회장은 "실효성 없는 유통규제가 강화된다면 국내 유통산업은 미래는 밝지 못할 것"이라며 "이대로 가게 되면 유통산업 전체가 침체될 수 밖에 없다"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