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고령사회' 치매보험 관심 급증…"경증치매 보장 필요"

올해 우리나라가 본격적인 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14%)에 진입함에 따라 고령사회의 가장 큰 질병인 치매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치매 의료비의 90% 가량을 건강보험으로 보장하는 내용의 치매 국가책임제를 실시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에선 보험사들이 판매하고 있는 치매 보장 상품에 대한 문의도 빗발치고 있다.

1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치매 환자의 경우 연간 의료비가 수 천 만원에 이르는 등 경제적 부담은 물론 자기 자신과 주변에 끼치는 정신적·육체적 부담이 크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기준 치매환자가 부담해야 하는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은 최경도일 시 1484만원이다. 치매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은 증가한다. 중증인 경우 최경도의 2배 이상인 3187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치매 환자에 대해 국가가 현재 부담하고 있는 관리비용은 연간 총 13조2000억원에 달하는 상황.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약 0.9%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문제는 치매 환자의 관리 비용이 오는 2050년 106조5000억원(GDP의 약 3.8%)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보험사 한 관계자는 "국내 노인 부부가구의 소득이 2500만원 수준임을 감안할 때 부부 중 한 사람이라도 치매에 걸릴 경우 소득의 대부분을 치매 관리 비용으로 지출할 수밖에 없다"며 "가족이 아닌 간병인을 따로 둘 경우에는 간병비로 인해 관련 지출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간병인을 두는 경우 월 평균 간병비로만 200만원 이상이 지출된다.

정부는 최근 국무회의에서 국가 치매책임제 관련 2023억원의 예산을 추경 편성했다. 47개의 치매안심센터를 전국 252개로 늘리는데 1418억원, 치매안심병원 확충에 606억원을 각각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경증 치매환자에 대한 노인장기요양보험 적용 등 관리 대상도 확대하고 본인 부담상한제도 도입한다.



손보·생보 등 보험업계는 현재 주계약 또는 특약담보 상품을 통해 치매를 보장하고 있다. 관련 상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최근 급증세다. 다만 출시된 100여 개의 상품 가운데 대부분이 중증치매만을 보장하고 경증치매를 보장하는 경우는 미미하다.

보험사 관계자는 "대다수의 상품이 중증치매 시 치매 진단금이 지급되는 상품"이라며 "중증치매는 통상 의료인 등의 진단을 통한 치매임상평가(CDR)척도 3점 이상을 일컫는다"고 설명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치매환자는 65만명으로 집계된다. 이 중 85% 가량이 대화와 지적능력이 감퇴되는 수준의 경증치매로 분류된다. 그러나 보험협회에 따르면 정작 이를 보장하는 보험상품은 전체의 4.9%에 불과하다. 실제 최근 12년 동안 보험사가 받은 치매보험료는 5조5000억원이 넘지만 실제 지급된 보험금은 이 가운데 1%인 593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협회 관계자는 "최근 치매 환자가 급증하면서 경증 치매에 대한 보장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며 "정부가 건강보험으로 치매를 보장토록 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관련 상품 수요에 대해 보험사들이 부응하지 못할 경우 상품 판매가 줄어 영업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