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TV방송

"금기를 말하다"…新 여성예능, 진짜가 왔다

온스타일 '뜨거운 사이다' 포스터



할 말 다 하는 여성들이 예능계의 판도를 뒤바꾸고 있다. '객체' 아닌 '주체'로 나선 여성들이 불문율처럼 여겨졌던 금기를 과감히 깨며 새로운 형태의 '여성예능'을 주도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껏 예능 프로그램의 흐름은 남성을 중심으로 이어져 왔다. MBC 대표 장수 예능 프로그램인 '무한도전'을 비롯해 KBS 2TV '해피선데이-1박2일', tvN '알쓸신잡' 등 인기 프로그램의 주축은 늘 남성들이었다.

그렇다면 예능 속 여성들은 어떤 존재일까. 대부분의 예능에서 여성들은 다수의 남성 사이에 '끼어 있는' 존재에 가깝다. 그렇기에 보여줄 수 있는 이미지 역시 한정적이다. 보호해야 할 '홍일점' 혹은 그 반대의 '망가지는' 역할이 대표적이다.

예능에 출연한 여성들이 남성보다 더 가혹한 잣대에 갇히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틀을 벗어난 여성 예능인의 행보는 프로그램 속 흐름에 녹아들지 못하고 겉돌며 '화제거리'로 떠오르곤 한다.

한 프로그램의 성패를 '여성예능' 전체의 흐름으로 몰고가는 분위기도 여성중심 예능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 중 하나다.

우후죽순 쏟아지는 남성 중심 예능이 소리소문 없이 사라지는 일은 흔하지만, 여성예능은 등장부터 퇴장까지 각종 평가에 시달리곤 한다. 그러다보니 안정성에 초점을 맞추게 되고, 아류작에 그치는 경우도 다반사다.

이 모든 과정에서 여성들은 남성중심적 시선에 갇힌 '객체'에 불과하다. 망가지는 여성 캐릭터조차 '남자 만큼 망가질 줄 아는'이라는 수식어가 붙기 일쑤다.

그러나 최근 다시 한 번 여성예능 바람이 불고 있다. 온스타일 '뜨거운 사이다'가 그 주축이다. '뜨거운 사이다'는 사회, 문화, 정치, 연예, 예술 분야 중 '핫이슈'를 선정해 여성 패널 6명이 대화를 나누는 토크쇼다.

첫회에선 '로리타' 논란을 부른 사진작가 로타를 섭외해 민감한 문제에 대해 다뤘고, 2회에선 김기덕 감독의 폭행 논란을 주제로 의견을 주고 받았다.

여섯 명의 여성 패널들은 매회 새로운 주제를 다루면서 자연스럽게 경험담을 풀어내고, 이를 통해 시청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낸다.

이 프로그램이 남다른 의미를 갇는 이유는 남성 중심적 시선에선 다뤄질 수 없었던 주제들을 여성의 시각에서 새롭게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여성들을 위한 '토크의 장'을 열었다는 점 역시 고무적인 부분이다.

온스타일 '바디액츄얼리'



비슷한 맥락에서 여성들의 몸에 대해 리얼하게 다루는 온스타일 '바디액츄얼리'도 주목 받고 있다. 방송에서 암묵적으로 금기시 됐던 여성들의 다양한 고민과 궁금증들을 공개적으로 다루면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것.

TV 속 여성들은 발언, 행동뿐 아니라 외적인 부분까지 '완벽함'을 요구 받는다. 남성 출연자들은 상대적으로 이 압박에서 자유롭다. 가령 마르지 않은 남녀 출연자들이 TV에서 배를 드러냈을 때 남성은 웃음 소재로 쓰이는 데 그치지만, 여성은 조롱의 대상이 될 확률이 훨씬 높다. 이는 예능 속 여성들을 그 자체로 바라보지 않고 특정 역할을 맡고 있는 부속품으로 보는 시선에 의해 발생한다.

'바디액츄얼리'는 여성의 몸을 평가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바라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터부시 됐던 여성의 이야기들을 전면에 내세워, 현실엔 있었지만 TV에선 볼 수 없던 여성들의 새로운 이야기를 전한다. 이를 통해 여성에 대한 비틀어진 시선을 바로잡는 데에도 크게 일조하고 있다는 평이다.

비단 두 프로그램뿐만이 아니다. 여성을 중심으로 한 콘텐츠들은 브라운관을 넘어 다양한 채널을 통해 확산되고 있다. 이들이 설령 실패한다 해도 이 흐름이 끊어지지 않을 거란 확신이 드는 이유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