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인터넷전문은행 연체율은?

"두고보세요.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얼마나 나오는지. 분명 문제가 될 겁니다."

"우리도 은행입니다. 대출 연체를 관리할 시스템과 인력을 준비 안해놨겠습니까. 신용평가 시스템도 기존 은행들하고는 비교할 수 없을 겁니다."

인터넷전문은행 1호 케이뱅크가 출범한 지 2개월이 지났다.

케이뱅크의 대출 규모는 한 달여만에 2000억원을 넘어섰다. 이달 중순께는 3000억원을 돌파하며 올해 목표인 4000억원의 75% 가량을 이미 다 채웠다.

초기 인터넷전문은행을 보는 시선이 예상을 뛰어넘는 흥행에 대한 놀라움이었다면 이제는 기대반 우려반이다.

우려의 시선은 연체율로 향한다.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중금리 대출에 주력하다 보니 그만큼 대출 연체율도 치솟을 것이란 논리다.

특히 시중은행들과 저축은행들은 모두 문제가 될 테니 두고보자는 반응이다.

한 시중은행장은 "인터넷전문은행 대출이 늘어 연체가 나오기 시작하면 이를 관리하기 위한 조직을 갖출 수밖에 없다"며 "지금 같은 저비용 구조를 계속 가져가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저축은행 관계자 역시 "지금 상황에서는 같은 신용등급이라면 저축은행보다 인터넷전문은행이 유리한 것은 맞지만 연체율 관리를 잘 하면서도 금리를 유지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케이뱅크 측은 아직은 여유있는 반응이다. 같은 '은행'인데 연체 관리 시스템이나 조직이 미비한 상태로 문을 열었겠냐는 반박이다.

또 신용평가 시스템에 대한 자신감도 있다. 케이뱅크는 시중은행에서 사용하는 신용평가사 신용등급에 주주사인 KT 통신 이력과 GS리테일 가맹점 데이터 등을 추가해 신용평가 시스템을 구축해놨다.

전문가들은 아직 예단하기는 힘들다는 입장이다. 증권업계에서는 케이뱅크의 대손비용률을 2.0~2.5%로 추측했다. 현재 시중 은행들의 대손비용률은 1%가 되지 않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