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달라는 대로 사겠다"…회사채 하반기도 몸값 치솟는다



"회사채 가격은 상관없다. 인수하게 해 달라."

최근 연기금, 보험사 등 기관투자가의 채권 인수 경쟁이 치열하다. 투자처를 찾지 못한 기관 뭉칫돈이 채권시장에 몰리면서 권장가격(민평금리)보다 높은 가격에 채권이 팔려 나가는 사례가 관측되고 있다.

3·5·7년 만기 회사채를 발행하는 LG화학은 최근 수요예측에서 1조7700억원의 '뭉칫돈'이 몰렸다. 2012년 4월 회사채 수요예측 제도가 도입된 이후 최대 규모다. 지난 1월 현대제철이 세운 종전 사상 최대 기록(1조4300억원)을 뛰어 넘었다.

2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4월 말 현재 회사채 수요예측(기관 사전청약) 대비 약 4조원 규모나 증액 발행됐다.

4월 말 현재 'AAA'급 회사채 스프레드(금리 차이)는 전달 말 보다 0.7bp(1bp=0.01%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AA-급은 -1.8bp, A+ -0.6bp, BBB+ -0.5bp 하락했다.

이 때문에 적잖은 기업들이 민평금리 아래에서 자금을 조달했다. 민평금리란 민간 채권평가사들이 평가한 회사채 금리 평균값이다. 크레딧 시장에서 민평금리는 새롭게 시장에 나오는 회사채의 '권장소비자가격'으로 생각하면 된다. 회사채 발행금리가 민평금리보다 낮았다는 것은 권장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쳐주고 채권을 인수한 투자자가 많았다는 얘기다.

이는 최근 시장금리가 워낙 낮다 보니 연기금과 보험사 등 기관투자가들이 국공채보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회사채를 선호한데 따른 것이다.

하반기 회사채 몸값은 더 비싸질 전망이다.

KB증권 김수연 연구원은 "오는 6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시장의 경계감은 있을 수 있으나 국내 시중금리의 제한적인 움직임이 전망되고 있어 우량 크레딧물에 대한 시장의 우호적인 심리는 견고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올해 상반기는 기업들의 선제 자금조달 성향이 상당히 높은 편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기업들이 금리 상승에 대비해 상반기 선제적 자금조달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다.

빚을 낼 이유도 많지 않다.

한국은행이 내놓은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체 271곳(대기업 152곳, 중소기업 119곳)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전체 기업의 66.7%가 "올해 설비투자를 늘릴 계획"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실적치(실제 설비투자를 늘린 기업의 비중) 58.9%를 큰 폭 상회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출과 투자, 고용의 양적 개선에도 우리 경제는 내수, 그중에서도 소비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어 걸림돌이다. 기업들의 투자가 위축될 수 있는 구조다.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536곳(금융업 제외)의 1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은 38조8906억원으로 25.34%나 늘었다. 전체 매출액의 11.10%를 차지하는 삼성전자를 제외해도 매출액은 405조2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27% 늘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28조9922억원과 24조5094억원으로 19.05%, 32.78% 각각 증가해 외형과 수익성 모두 성장하는 모습이다.

해외 투자자금도 다시 국내로 돌아올 가능성이 커졌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대형 채권 투자기관인 보험, 연기금의 해외채권투자는 2012년 108억달러에서 지난해 말 432억달러로 늘었다.

반면 지난해 말 스왑포인트의 마이너스(-) 전환으로 해외투자 매력이 감소한 상황이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저금리가 이어지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유망한 자산군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라 그동안 기관들이 해외 채권 시장으로 몰렸다"며 "하지만 하반기 국내 우량기업 채권과 우량기업 채권 비중을 확대하려는 추세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