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사라져가는 갈치, 쥐치… "어린물고기 남획 막아야"

최근 우리나라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급감한 가운데 '어린 물고기' 남획으로 국산 어종의 멸종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주목을 끌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최근 발표한 'KMI 동향분석'에 따르면 명태와 함께 국민 생선으로 사랑받던 '갈치'와 쥐포의 재료인 '쥐치'의 생산량이 최근 급감한 것이다.

KMI의 동향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갈치와 쥐치 등 대표 어종의 급격한 수확량 감소로 총 92만t을 기록했다.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100만t 이하로 감소한 것은 1972년 이후 44년 만이다.

1974년에 17만t이 잡히던 갈치는 지난해 3만t으로 줄었다. 그 결과 지난해 갈치가격은 산지에서 1㎏당 8506원이라는 고가를 기록해 서민들의 밥상을 채우던 생선에서 '금갈치'라는 새로운 별명을 얻었다.

1986년에 32만7000t이 잡혔던 쥐치의 생산량은 지난해 2000t으로 급감했다. 현재 쥐포는 러시아산 동태가 밥상차림을 대신하고 있듯이 베트남산이 대신하고 있다. 우리 아이들이 국산 쥐포의 맛을 모르고 있는 것이다.

대형마트 등에서 국산 쥐포는 구경하기 어렵고 건어물 전문점에서 10장들이 1팩에 2만~3만원을 줘야 살 수 있는 귀하신 몸이 됐다.

쥐치가 워낙 적게 잡히다보니 횟집에서도 고급횟감 대접을 받는다.

갈치와 쥐치를 비롯해 주요 어종의 지난해 생산량을 역대 최대치와 비교하면 고등어는 62.5%, 오징어는 51.8%, 멸치는 51.9%나 줄었다.

때문에 우리 연근해 어종들이 명태와 같은 멸종에 이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국민 생선이던 명태는 1970년부터 명태 새끼인 노가리 어획이 허용되면서 어획량이 급증했고 1976년에는 전체 명태 어획량의 약 94%를 차지해 결국 멸종에 이르렀다.

보고서에 따르면 어린 물고기를 잡는 행위는 다 자라서 최소한 한 번의 산란을 통해 자원 재생산에 기여할 기회마저 박탈하기 때문에 '바닷속 저출산'으로 이어지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국립수산과학원 조사를 보면 갈치와 참조기는 전체 어획량의 80~90%가 어린 물고기이고, 고등어와 살오징어는 30% 이상을 차지한다.

정부는 이런 문제에 대응하고자 지난해 5월부터 고등어, 참조기, 오징어, 갈치의 포획금지 체장(몸길이)를 정했지만 규정이 너무 느슨해 어린 물고기 보호에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정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어업자원연구실장은 "바다에서 물고기가 사라지면 어업과 관련 산업이 존재할 수 없고 국민 밥상의 풍요로움도 사라진다"며 "어린물고기 남획을 막기 위한 정부의 보다 강력한 대책과 함께 국민이 어린 물고기와 알밴 고기를 사지 않는 현명한 소비를 통해 자원 회복에 동참하는 게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소비자 참여형 수산자원관리는 정부 단독에 의한 관리나 어업인의 자율관리에서 나타나는 비효율을 보완할 수 있어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이 실장은 "우리나라도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해 소비자들이 소비권 행사를 통해 수산자원관리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며 "특히 어린 물고기와 알밴 물고기의 불법 유통과 판매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신고포상금 제도 등 소비자 참여를 적극 유도해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