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우체국예금 수신 증가...경기 불확실성 때문?

우체국금융 수신잔액 1년새 3조8985억원 증가…일본 우체국 민영화 10년만에 결실, 우리나라는?

우체국금융의 잔고가 꾸준히 쌓이고 있다. 우체국의 수신 잔액은 국내 경기·금융의 불안 정도를 측정하는 비공식적 잣대로 평가된다. 금융소비자가 경기에 불안을 느끼면 사기업인 시중은행보다 정부 소유의 우체국에 돈을 맡기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

한국이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장기 불황)'을 닮았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국내외 금융 불안이 이어지면 국내 우체국도 민영화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나온다.

우체국금융 수신잔액 추이.



◆ 금융환경 불안…우체국으로 돈 몰린다

20일 우정사업본부에 따르면 우체국금융의 수신잔액은 지난 1년간 꾸준히 증가해 2017년 1월 기준 62조8715억원으로 전년 동기(1월 58조9730억원) 대비 3조8985억원(6.6%) 늘었다. 이는 수신 잔고가 감소세로 전환한 시중은행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지난달 국내 은행의 수신 잔액은 1451조7000억원으로 전월보다 20조1000억원(1.4%) 줄었다.

순이익도 늘고 있다. 우체국예금의 순익은 지난 2013년 1393억원에서 2014년 1195억원 14.2% 줄었다가 2015년 다시 1473억원으로 23.3% 증가했다.

우체국금융의 수신 잔액은 경기가 불안한 시기에 증가하는 특성이 있다. 불안심리가 높아진 금융소비자들이 시중은행 대신 정부 소유의 금융기관을 찾기 때문. 예금은행,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등은 원리금 5000만원까지만 지급을 보장하지만, 우체국은 '우체국예금·보험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액 지급을 보장해 안전성이 높다.

실제로 지난 1997년 외환위기가 닥친 이후 우체국예금은 매년 약 5조원씩 증가했다. 1997년 말 5조8406억원이었던 우체국예금 잔고는 1998년 말 10조6372억원으로 두 배 가량 늘었다. 이어 1999년 말에는 14조1521억원, 2000년 9월 말에는 19조7810억원으로 급증했다.

저축은행 사태가 있었던 2010년에도 우체국의 예금 잔액은 크게 증가했다. 2010년 1분기 우체국 예금은 전년 말 41조9000억원에서 51조3000억원으로 17.2% 증가했다. 이는 2008년 4분기(19.5%) 이후 가장 높은 증가폭이었다.

지난 1년간 우체국금융의 잔액이 증가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2016년 국내 금융권은 조선·해운업 부실 대출, 브렉시트를 비롯해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 '최순실 게이트' 등의 정치·경제적 이슈로 불확실성이 높았다. 이에 시중은행의 수신잔액이 감소(1.4%)했던 지난달 우체국금융의 잔액은 오히려 2.1% 늘었다.

각국 우정사업 민영화 현황



◆ 우체국 민영화?…"아직은 아냐"

국내외 금융환경의 불확실성이 확대된 가운데, 디지털금융이 발달하면서 우체국의 민영화 가능성도 다시 제기되고 있다.

그간 일본·미국·독일·이탈리아 등 세계 각국은 우체국 금융의 경쟁력과 필요성 감소에 따라 민영화 작업을 추진해 왔다. 특히 한국보다 먼저 '잃어버린 20년'을 겪은 일본은 지난 2005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 시절부터 우정사업 민영화 작업을 시작, 10년 만인 지난 2015년 11월 결실을 맺었다. 우체국 사업을 독점하는 일본우정과 자회사인 유초은행, 간포생명이 도쿄증시에 동시 상장했다.

이같은 움직임에 국내서도 우체국의 민영화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2013년 말 '우체국금융 민영화의 해외사례와 정책 시사점' 보고서에서 "세계적인 우체국 금융의 민영화 추세에 맞춰 한국도 민영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체국은 196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추진 과정에서 정부가 자금동원의 목적으로 저축 장려 정책을 시행하면서 활성화됐다.

그러나 민간금융기관이 성장해 다양한 저축상품을 제공하고, 정보통신 기술 발달과 ATM·CD기의 보급으로 금융소외 지역도 금융 접근성이 크게 향상돼 우체국 금융의 경쟁력과 필요성이 감소했다는 지적이다. 또 채권시장 활성화와 자금 조달의 방법이 다양화돼 정부도 국민들의 예금을 통한 조달 필요성도 줄었다.

이에 대해 금융연구원 이대기 박사는 "최근 예금 금리가 낮은데도 마땅한 투자처가 없어서 금융기관의 예금이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우체국 예금이 시중은행에 비해 훨씬 많이 몰리고 있다면 경기 불안의 영향이 크지만 아직까진 쏠림 현상이라든지 특이한 상황이라고 평가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우체국금융 수신잔액> (단위:억원)

16년 1월 : 58조9730억원

2월 : 59조6704억원

3월 : 60조1051억원

4월 : 60조3172억원

5월 : 60조4489억원

6월 : 60조5696억원

7월 : 60조7994억원

8월 : 61조211억원

9월 : 61조2142억원

10월 : 61조3787억원

11월 : 61조4847억원

12월 : 61조5631억원

2017년 1월 : 62조8715(억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