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기자수첩] 하우스푸어마저 부러운 세상



'하우스(House)'와 '푸어(Poor)'. 이질감이 느껴지는 두 단어의 만남은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잦아졌다. 억(億)소리 나는 집을 가진 사람이 가난하다는 건 어불성설 같지만 지금 우리가 하우스푸어(집을 가진 가난한 사람)를 양산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지난해 부동산 가격의 폭등과 저금리의 교차점은 '대출'이었다. 서민들은 저금리에 실낱같은 희망을 건 채 대출을 받아 집을 샀다. 사상 초저금리 시대에 집주인들이 전세를 월세로 돌리면서 전세난이 심해진데다, 전세 값과 매매가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마당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했다.

당연히 원금은 갚기 힘들다. 20년, 30년씩 만기를 길게 두고 '대출의 노예'로서 매달 이자 갚기에 급급하다. 자연스레 가계부채가 급증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6년 3분기 말 국내 가계부채는 1296조원으로, 지난 한 해 은행의 가계대출은 68조9000억원 증가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국발(發) 금리상승기까지 도래했다.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대출자가 전체의 70%에 달하는 가운데, 올해엔 서민들의 생활고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그러던 중 2월이 성큼 다가왔다. 하우스푸어, 혹은 하우스마저 없는 '푸어'들은 2월의 의미를 안다. 이사철이다. 월세 또는 전세를 구하는 이들의 발걸음이 무겁다.

최근 들른 신림역 A부동산 중개인은 "요즘 집 보러 오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월요일을 제외하고 일주일 내내 출근해 야근까지 한다"면서도 "근데 집값은 너무 비싸고 대출은 안 나오고 게다가 이자까지 오르는 마당에 쉽게 계약하지 못하고 돌아서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체감 경기는 혹한기 수준인 셈이다. 이 와중에 정부는 올 초부터 연달아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 개선과 서민금융지원이 골자다. 특히 깐깐한 대출심사에 주안점을 뒀다.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정부와 당국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카드를 꺼냈다. 이는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까다롭게 평가하는 표준모형으로, 처음부터 갚을 수 있을 만큼만 빌리라는 취지다. 하지만 경기 변동성에 취약한 저소득 자영업자와 부동산 시장의 경색은 또 다른 과제로 남았다.

'서민금융지원은 늘리되, 대출의 문턱은 높인다.' 하우스푸어라는 단어만큼이나 역설적이다. 이미 1300조원을 짊어진 서민들이 떠돌이신세가 되지 않도록 좀 더 실효성 있는 방안이 필요한 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