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영화

[필름리뷰-맨 인 더 다크] 속도감과 스릴을 갖춘 놀라운 스릴러

영화 '맨 인 더 다크'./UPI 코리아



시궁창 같은 삶에도 희망은 있을까? 록키(제인 레비)는 그렇다고 믿는다. 알렉스(딜런 미네트), 머니(다니엘 조바토)와 함께 빈집을 털며 근근이 살아가는 록키에게는 언젠가 고향 디트로이트를 떠나 푸른 바다가 있는 캘리포니아로 가겠다는 꿈이 있다.

그런 록키에게 마침내 기회가 찾아온다. 교통사고로 딸을 잃은 뒤 보상금으로 받은 현금을 보관하고 있다는 어느 노인(스티븐 랭)의 집을 알게 된 것이다. 그 노인이 장님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록키와 알렉스, 머니는 거액을 손에 쥘 달콤한 꿈에 빠져든다. 그러나 꿈은 꿈일 뿐, 3인조는 노인의 집이 공포의 무대가 될 거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못한다.

영화 '맨 인 더 다크'./UPI 코리아



'맨 인 더 다크'는 거액의 현금을 노리는 10대 빈집털이범들이 눈 먼 노인의 집에 갇히면서 겪게 되는 극한의 상황을 그린 공포 스릴러 영화다. 샘 레이미 감독의 고전 공포영화 '이블 데드'의 리메이크작으로 데뷔한 페데 알바레즈 감독의 신작이다. 지난 8월 말 북미 지역에서 첫 선을 보인 영화는 개봉 10일 만에 제작비의 5배에 달하는 5112만 달러의 수익을 올리며 흥행 돌풍을 일으켰다.

'맨 인 더 다크'의 매력은 속도감과 스릴을 갖춘 이야기 전개다. 시작과 동시에 주인공들을 폐쇄된 집으로 몰아넣으면서 영화는 긴장감을 쌓아간다. 그 긴장감은 퇴역 군인 출신인 눈 먼 노인의 캐릭터에서 나온다. 집주인이 장님이라는 사실에 방심하고 과감한 행동을 하는 록키와 그녀의 친구들은 눈마 멀었을 뿐 다른 감각은 주인공들보다 뛰어난 노인과 만나면서 예상치 못한 공포에 빠져든다. 관객 또한 이들 주인공과 함께 노인의 집에 갇힌 듯한 극한의 공포와 긴장을 느끼게 된다.

무엇보다도 '맨 인 더 다크'는 영화의 재미가 제작비와 꼭 정비례하는 것은 아님을 잘 보여준다. 저예산으로 제작된 영화는 폐쇄된 공간과 조명 등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여느 스릴러 영화 못지않은 긴장감을 만들어낸다. 특히 불 꺼진 지하실에서 펼쳐지는 주인공들과 노인의 추격전은 저예산의 한계를 아이디어로 돌파하려는 영화의 미덕이 빛난다. 영화의 원제('숨쉬지 말라(Don't Breathe)')처럼 숨소리만으로도 공포가 시작되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관객 또한 그 긴장감에 숨을 멈추지 않을 수 없다.

영화 '맨 인 더 다크'./UPI 코리아



'맨 인 더 다크'의 또 다른 긴장감은 주인공들이 겪는 도덕적 딜레마에 있다. 록키와 알렉스에게는 노인의 집에서 탈출할 수 있는 기회가 몇 차례 주어진다. 그러나 그때마다 이들은 눈앞에 있는 '돈'을 포기하지 못해 스스로를 더 큰 위기로 몰아넣는다. 어리석은 선택으로 점점 더 위기에 빠져드는 주인공들의 모습을 보면서 관객은 이율배반적인 감정을 느끼게 된다. 과연 우리도 이들과 같은 상황에 처한다면 돈을 포기할 수 있을 것인가. 영화가 던지는 흥미로운 질문이 관객을 더욱 빠져들게 만든다.

후반부에 등장하는 몇 가지 반전은 이런 흥미로움을 조금은 반감시키는 것 같아 아쉬움이 남는다. 한국적인 정서에서는 다소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충격적인 설정도 등장한다. 그럼에도 영화는 88분의 러닝타임 동안 긴장감을 놓지 않음으로 '스릴러' 장르 본연의 재미를 충분히 느끼게 만든다. 그 긴장과 재미를 즐기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만족스러운 경험이 될 것이다. 청소년 관람불가. 10월 5일 개봉.

영화 '맨 인 더 다크'./UPI 코리아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