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블폰 디스플레이 단품 수리 서비스센터 대폭 확대
고객 희망 장소에서 점검 '휴대폰 방문서비스' 호평
산간오지에 휴대폰 점검 버스 파견
삼성전자서비스가 스마트폰 갤럭시의 사후관리 서비스를 강화하는 데 주력한다. 디스플레이 단품 서비스 센터를 대폭 확대하고 수리비를 36% 가량 절약시켰다. 또 강원도는 물론 산골오지에는 점검 버스를 정기적으로 파견해 센터를 찾아갈 필요 없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받도록 했다.
삼성전자는 30일 폴더블폰 신제품인 갤럭시Z 폴드·플립 6 출시 이후 갤럭시의 최대 강점 중 하나로 손꼽히는 사후관리 서비스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고객이 서비스 이용에 소요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편의 향상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서비스센터 32곳에서 53곳으로 대폭 확대
삼성전자서비스는 7월부터 폴더블폰 디스플레이 단품 수리를 제공하는 서비스센터를 32곳에서 53곳으로 대폭 확대했다. 지난 5월 단품 수리 서비스센터를 기존 13곳에서 32곳으로 1차 확대한데 이어, 인프라 추가 확대에도 나선 것.
이처럼 폴더블폰 디스플레이 단품 수리 서비스센터가 늘어남에 따라 고객은 더 가까운 곳에서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디스플레이 단품 수리는 삼성전자가 2019년 업계 최초로 개발한 친환경 수리 방식이다. 디스플레이 부품, 테두리, 케이스 등을 분리한 후 사용 가능한 부품은 재사용하고 교체 필요한 부품만 바꿔 전자폐기물 배출을 줄이고, 수리비도 최대 36% 절약할 수 있다.
실제 갤럭시Z 플립5 디스플레이 단품 수리 비용은 24만원으로 일체형 부품 교체 37만 8000원보다 약 13만 8000원, 36%가 더 저렴하다.
폴더블폰 디스플레이 단품 수리를 이용하면 자원 사용의 효율은 높이고 수리비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의 반응도 뜨겁다. 지난 7월 단품 수리 서비스센터 확대 후 고객의 서비스 이용률도 6월 대비 150% 이상 급증했다.
삼성전자서비스는 고객의 편의 향상을 위해 폴더블폰 디스플레이 단품 수리 서비스센터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 연말까지 최대 90여 곳을 추가 확대할 계획으로 소형 서비스센터 일부를 제외한 전국 대부분의 서비스센터에서 폴더블폰 단품 수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미 갤럭시S 계열 제품들에 대한 디스플레이 단품 수리 서비스는 지난해 1월부터 전국의 모든 서비스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다.
◆"고객 희망 장소 어디든 서비스 OK"
삼성전자서비스는 고객의 서비스 이용 시간을 줄이기 위한 특화서비스도 확대하고 있다. 고객이 희망하는 장소로 엔지니어가 찾아가 점검을 해주거나, 휴대폰 점검 장비가 탑재된 버스를 파견하는 방식이다.
삼성케어플러스에 가입한 고객이라면 '휴대폰 방문서비스'를 활용해 사무실, 가정 등 내가 원하는 장소에서 휴대폰을 점검 받을 수 있다. 고객은 서비스센터를 방문한 것과 동일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정 장소에서 통화 송, 수신이나 인터넷이 끊어지는 증상에도 '휴대폰 방문서비스'가 제공된다. 엔지니어가 전파 측정 장비를 가지고 현장에 방문해 정확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안내해준다.
삼성전자 서비스센터 관계자는 "전화 송, 수신이 끊어지는 증상은 발생 위치에서 확인해야 정확한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며 "고객의 불편을 신속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고안된 서비스로 고객의 만족도가 높다"고 서비스 제공 취지를 설명했다.
이 밖에도 산골오지에는 휴대폰 점검 장비가 실린 버스를 정기적으로 파견하는 '휴대폰 찾아가는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고객들은 인근 도시의 서비스센터로 방문할 필요 없이 지역에 찾아오는 버스에서 편리하게 휴대폰 점검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도해와 복잡한 해안선으로 이동 거리가 긴 남해에선 월요일 영암, 화요일 고흥, 수요일 장흥, 목요일 완도, 금요일 무안에 버스가 정기적으로 찾아가고 있다. 험준한 산세로 이동이 어려운 철원 등 강원도 일대에도 '찾아가는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한편, 삼성전자서비스는 올해부터 업계 최초이자 유일하게 '주말 케어 센터'를 도입하고 주말 및 공휴일에도 휴대폰 점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말 케어 센터는 삼성전자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사전 예약 후 이용 가능하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