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현실이 된 로봇, 'K-로봇' 시대가 왔다

4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현대차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로봇 스팟과 함께 무대에 입장하고 있다. 정 회장은 미래에는 인간이 휴대전화처럼 로봇을 데리고 다닐 것으로 예상했다. /현대자동차그룹

로봇이 성큼 현실로 다가왔다. 글로벌 산업계가 로봇 개발에 매진하던 가운데, 코로나19로 비대면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상용화 속도도 빨라지는 모습이다. 일찌감치 시장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성과가 두드러진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다수 기업들은 지난 5일(현지시간) 열린 CES2022에 다양한 로봇 기술을 선보였다.

 

현대자동차가 대표적, 현대중공업과 두산은 물론, 삼성전자와 LG전자, 그리고 중소기업들까지 각각 로봇들을 선보였다.

 

형태는 다양했다. 현대차 4족 보행 로봇인 보스턴 다이내믹스 스팟을 비롯해 물건을 집거나 커피를 만들고 사진을 찍어주는 팔모양 특수목적 로봇, 서빙용 로봇 등이다.

 

특히 이번에 소개된 로봇은 대부분 현장에서 이미 활용중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두산로보틱스가 만든 NINA가 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2 두산 부스에서 작동하고 있다. /두산

현대차 스팟은 지난해부터 기아차 광명 공장에서 세이프티 로봇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추후 전 공장에도 도입해 역할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내일'이라고 부르는 '스트레치'도 이미 일부 물류창고에 활용 중이며, 내년 중으로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그 밖에도 현대차는 모베드 등 로보틱스 제품을 빠른 시일내에 상용화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는 로봇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자 키트(SDK)도 마련해둔 상태다. 예를 들어 스팟에 디스플레이를 장착해 매장 안내용으로 활용하는 등이다. 추후 인간형 로봇인 아틀라스가 상용화되면 단일 로봇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는 훨씬 많아질 전망이다.

 

두산로보틱스가 공개한 'NINA(니나)'는 지난 서울 모터쇼에서 MINI 부스에서 사진을 찍어주던 그 로봇이다. 세밀한 움직임 뿐 아니라 AI를 이용한 초점 등 기술로 콘텐츠 제작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협동 로봇 역시 이미 국내 공장들에서 활용하고 있는 중으로, 해외 진출도 준비 중으로 알려졌다.

 

현대로보틱스가 5일(현지시간)부터 7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2에서 소개한 로봇 카페 모습 /김재웅 기자

현대로보틱스는 이미 전국에 여러 무인 매장에서 운영되는 커피 제조 로봇을 시연하면서, 서빙 로봇을 더해 매장 전체를 완전히 무인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했다.

 

그 밖에도 국내외 중소형 업체들이 서빙 로봇을 중심으로 소개했다. 얼마나 많은 짐을 실을 수 있는지가 관건, 여러대를 유기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솔루션 기술도 제시됐다.

 

전자업계도 가세했다. LG전자가 가상으로 이미 여러곳에서 운영 중인 클로이봇 시리즈를 소개한 가운데, 삼성전자는 삼성 봇 핸디에 이어 삼성 봇 아이를 처음 공개하며 로보틱스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5일(현지시간)부터 7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2에는 다양한 국가 기업들이 로봇을 선보였지만 한국 기업들만큼 수준 높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김재웅기자

업계에서는 삼성전자도 조만간 로봇을 상용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조직 개편을 통해 로봇 사업화 TF를 로봇사업팀으로 격상시켰기 때문이다. 공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이 유력시된다.

 

비용도 더 떨어질 전망이다. 이미 서빙 로봇은 월 100만원 미만으로 도입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도 스팟 등 로봇을 SDK를 활용해 대량생산해 가격을 최대한 합리화한다는 목표, 대당 수천만원대로 떨어뜨리면 현장 도입도 더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